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수변공간을 활용한 도시재생’ ③

수변공간의 사례

공태윤 기자   |   등록일 : 2023-02-23 09:56:36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부산 온천천 <출처:구글>

 

온천천은 부산 도시지역 내 위치한 도시하천으로 수영강의 제1지류인 지방하천이며, 낙동강보존회를 시초로 온천천 살리기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이곳의 특징이 있다면 주요 목표를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으로 하였으며,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사업이 진행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봤을 때 수변공간의 공공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함으로써, 오염되고 버려졌던 온천천이 즐길 수 있는 활력의 공공공간으로 회복 되었다. 주된 이용자인 주거지역의 주민들이 친근하고 가깝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각종 휴게시설, 문화체육시설 등을 설치하였다.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는 수중·수변 식물군락 조성을 통한 자연학습장 설치 등이 계획되었고,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하수관거 정비, 콘크리트 주차장 철거, 각종 오물수거, 자정능력 향상을 위한 둔치, 호안 등에 쉼터, 식생대 조성, 횡단교량, 산책로, 체육시설, 음악바닥분수, 인공폭포 조성 등을 조성하였다.

 

온천천살리기는 실제 주민이 직접 참여함으로써 진정한 시민의 공공공간으로 이용됨을 강조할 수 있으며, 평상시 온천천은 휴식공간, 생태학습장, 여가공간, 운동공간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또한 온천천 영화제, 아티스트 공연, 시 낭송회,건강걷기대회 등 각종 문화행사 및 이벤트가 개최되고 있어 광장으로써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도시공간의 어메니티가 하천을 중심으로 창출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스웨덴 함마르비 허스터드 <출처:구글>

 

 

스웨덴의 스톡홀름시 외곽에 위치한 함마르비 허스타드(Hammarby Sjȍstad)는 공업지역으로 1차 세계대전 이후 산업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었으나, 설비 노후화와 제조업쇠퇴로 산업기능을 상실하며 1990년 초 함마르비 지역에 급증하는 주거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녹색수변도시로 개발하였다.

 

함마르비 지역은 단계별 계획을 12개 지구로 구분하여 수립한 후 각 지구에 대한 상세한 계획을 수립하였는데 특히 생태계와 하천을 포함한 주변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 복합 도시개발을 기본방향으로 하였다.

 

함마르비 호수로부터 주거지역 중심부에 물을 끌어들여 물과 접하는 면적을 넓게 만드는 공간적 특성을 보여준다. 이렇듯 물길과 연계하여 오픈스페이스, 녹지축을 조성함으로서 수변으로의 조망과 접근성을 확보한 결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 형태와 배치에서도 친수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법을 볼 수 있다. 우선 주거단지 내부에 조성된 수변녹지대와 인공수로를 중심으로 중정형 건축물을 배치하여 친수오픈스페이스를 조성하고 우수활용 공간을 조성하였다. 그리고 수변공간으로의 전통적인 중정형 배치와 개방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는 자형 중정형 배치를 계획하였다.

 

수변의 접근성 및 개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로티를 부분적으로 설치하고, 수변산책로를 조성하여 주거공간을 자연환경에 밀접하게 형성하도록 계획하였으며 건축물의 규모가 큰 경우 배후에 위치한 주거지역에서 열린 형태의 건축물을 계획하여 수변공간으로의 접근을 방해하지 않도록 계획하였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