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수변공간을 활용한 도시재생’ ②

수변공간의 가치

공태윤 기자   |   등록일 : 2023-02-23 09:53:38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국내 수변 산업단지 포항산업단지’ <출처:구글>

 

 

1. 일상적인 주거공간

우리의 일상에 지금까지 수변공간이 존재해 온 방식은 도시공간의 한 유형으로서 수변공간을 고려할 때일상적 주거공간역사문화공간상업업무공간산업공업공간친환경보전공간여가레저공간 등으로 유형을 나누어볼 수 있다그 중에서 일상적 주거공간은 강 주변으로 주거지역이 자연스럽게 조성된 유형으로한국의 경우 대부분의 상수원보호구역이나 강변 아파트의 경우 전원주택단지 등 규제행위와 개발여력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주거가 형성되어왔다.

 

2. 역사문화공간 업무상업공간

수변공간의 친수적 특성으로 인해서 업무상업공간의 경우 업무공간이나 상업공간이 조성된 유형이다예를 들어 상해 푸동의 상업업무지구나 싱가폴 리버사이드의 수변업무단지 등이 수변공간에 조성되는 업무상업공간 사례라 할 수 있다.

 

한편원래 가지는 수변공간의 정체성과 장소성역사문화적 가치 등을 바탕으로 하여 고유한 수변공간의 어메니티가 더해진 역사문화공간의 재생이나 새로운 문화공간의 창조나 역사문화공간의 재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영국 템즈강변 미술관일본 가나자와 수변찻집거리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 등이 여기에 해당 된다. 

 

3. 산업창조공간

기본적으로 수변공간은 대규모의 평탄한 필지와 용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산업화 과정에서 산업단지로 조성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쉽게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수변공간에 대부분의 산업단지들이 정책적으로 조성된 경우가 많았다. 한편 최근에는 미국 및 유럽 등 많은 나라에서 쇠퇴된 수변산업단지를 첨단산업으로 재생, 또는 주거단지 및 상업업무로 개발함으로써 재생하는 사례들이 늘고 있는 상황이다.

 

 

 

 


도심레포츠 공간으로서의 수변공간 활용 뉴욕 리버사이드 파크‘ <출처:구글>

 

4. 건강레저 및 생태환경

마지막으로 수변공간의 경우 생태환경의 거점 또는 수자원확보으로 활용되는 측면에서 친환경보전공간으로 조성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수계법에 의한 수변구역이나, 수자원보호법에 의한 수자원보호구역의 경우가 이러한 친환경보전공간으로 조성되어온 수변공간의 사례라 할 수 있다.

또한 여가레저공간으로의 활용은 수변공간이 가지는 경관적가치, 환경적 가치를 활용하여, 레저, 건강, 여가공간으로 이용하게 되는 유형이다.

 

수변공간은 기존의 도시 내 쇠퇴하는 도시공간에서 새로운 기능전환을 수용할 수 있는 여유부지가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탈산업시대에 들어서면서 수변공간에 있었던 창고시설, 산업시설 등은 다른 용도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정보화 사회에서의 유통 및 산업구조는 수변공간에 대한 이용패턴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원료조달과 물류비용의 절감을 위해 산업입지는 빠르게 이전하고 있어, 국가전체의 산업구조변화는 기존에 수변에 위치한 철강, 조선 등 중화학일변도의 산업형태에서 새로운 첨단녹색산업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금융산업 및 미디어산업으로 탈바꿈한 독일 메디언하펜이나, 문화산업으로 변화시킨 스페인의 빌바오나, 영국 도클랜드는 이러한사례이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삶의 질 개선에 대한 관심과 건강, 생태에 대한 관심은 도시 내 수변공간에 대한 새로운 요구로 연결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