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수도권 서부지역 광역교통 확충③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

김창수 기자   |   등록일 : 2022-11-11 15:38:23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 위치도 <출처 : 국토부> 

 

□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

(위치) 경기도 김포시 마산동, 운양동, 장기동, 양촌읍 일원

(면적/호수) 731/ 46천호

 

○ 개발구상

김포한강신도시 생활권 사이에 김포한강2 공공주택지구를 지정함으로써 기존 신도시가 지리적으로 분절된 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광역교통, 자족시설 등을 도입하여 수도권 서부지역의 스마트 자족도시로 발전시킨다.

 

김포한강2 공공주택지구는 ‘Compact & Network’라는 역세권 콤팩트시티 개념을 적용해 철도역을 중심으로 도시기능을 압축하여 개발하고, 주변 부지에서도 역 접근이 쉽도록 교통 네트워크를 연계구축한다.

 



▲ 역세권 콤팩트시티 기본 개념 <출처 : 국토부>

 

공항(김포인천), GTX(장기역), 도시철도(5호선 신설), 고속도로 IC, 한강변 등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고, 자율차, UAM(도심항공교통) 등 미래형 교통체계를 접목시켜 모빌리티 시대를 선도하는 특화도시로 조성한다. 특히, 앞서 밝힌바와 같이 택지 확충을 통해 수요를 확보하여 5호선을 연장하고, GTX(장기역), 김포골드라인과 연결하여 교통난을 해소한다.

 

대중교통 및 도로를 통한 접근성도 대폭 강화된다. 현재 운영 중인 국도48호선 버스전용차로를 지구 내까지 연장하고, 기존 한강신도시와 연계한 BRT 도입과 지구 중심부 복합환승센터를 구축을 통해 도심 내 교통 순환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주변 수도권제2순환계양강화고속도로 확장 및 IC 신설을 추진하고, 주변 정체지점은 입체화하며, 검단 신도시와 연결 도로도 신설하여 인천 방면으로도 접근이 용이하도록 개선한다.

 

○ 스마트 도시계획 추진

철도역 인근 지구 중심부(초역세권)에는 고밀개발을 통해 대형오피스, 복합쇼핑몰 등을 배치해 도시 거점기능을 수행하고, 복합적 토지이용으로 주거일터서비스 집적과 함께 스마트시티 요소도 대폭 도입한다.

 

김포한강신도시와 연계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종합환경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친수형 테마공원 등 친환경 커뮤니티를 조성하며,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재난교통사고범죄 등도 예방하는 스마트 기술도 전면 적용한다.

 

○ 향후 조성계획

사업추진 및 주택공급 시기는 시장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이르면 2027년부터 순차적으로 입주자모집(분양)을 개시한다.

주민 등의 의견청취, 국방부농식품부 등 관계기관 협의,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이르면 2023년 하반기 지구지정을 완료할 계획이며, 2025년 지구계획 승인 후 2027년 일부 주택단지의 입주자 모집을 추진한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