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국토부 2021년 도시계획현황 통계 발표

도시지역 면적 전년 대비 약 17.4㎢ 증가...국토 16.7% 차지

박승규 기자   |   등록일 : 2022-06-27 17:51:09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출처 : 국토부>

 

국토교통부와 한국국토정보공사는 2021년 기준 도시지역 인구면적, 용도지역지구구역, 도시군계획시설 현황 등이 수록된 도시계획현황 통계를 조사발표했다.

 

용도지역으로 지정된 국토면적은 106,207, 그중 도시지역(주거상업공업녹지지역, 이하 도시지역)17,787로 국토 면적의 약 16.7%를 차지했다. 주민등록상 총인구 5,164만명 중 4,740만명(91.8%)이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도지역은 크게 도시지역 17,787(16.7%), 관리지역 27,359(25.8%), 농림지역 49,201(46.3%), 자연환경보전지역 11,861(11.2%)으로 지정됐다. 이중 도시지역은 세부적으로 주거지역 2,740(15.4%), 상업지역 342(1.9%), 공업지역 1,241(7.0%), 녹지지역 12,592(70.8%), 미지정 지역 871(4.9%)으로 조사됐다.

 

전년대비 증감 현황을 보면 도시지역은 17.4증가했고, 세부적으로 증감현황을 살펴보면, 주거지역은 26.7, 공업지역은 18.9, 상업지역은 3.6증가했지만, 녹지지역은 30.0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도시지역의 경우 관리지역은 49.0증가했지만, 농림지역은 54.8, 자연환경보전지역은 8.9감소했다. 전년 대비 도시비도시지역의 증감은 도시·군관리계획 재정비 등에 따라 변동된 것으로 보인다.

 

개발행위 허가는 2020년 대비 10.4% 증가한 275,211건으로, 허가 유형을 세부적으로 보면 건축물의 건축’ 164,965(59.9%), ‘토지형질변경’ 67,431(24.5%) 순으로 많았다.

 

2019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한 개발행위 허가 건수는 2021년 들어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별로는 경기도가 73,564, 용도지역별로는 관리지역이 69,205건으로 개발행위 허가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도시·군계획시설로 결정된 면적은 총 7,032.3으로 2020년 대비 4.4% 증가했고, 유형별로는 교통시설(2,258.7), 방재시설(2,155.1), 공간시설(1,200.8) 순으로 면적이 넓었다. ·도별로는 경기도가 1,308.3로 가장 넓고, 경북 808.6, 전남 718.3순으로 나타났다.

 

도시·군계획시설 중 시민에게 휴식, 편의공간을 제공하는 공간시설의 경우 공원 709, 녹지 203, 광장 157, 유원지 118, 공공공지 14순으로 결정됐다. 도시·군계획시설로 결정됐지만 미집행한 시설 중에는 도로가 18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공원 158, 하천 78순이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