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2022 여름철 종합대책'①

정부, 현장중심 안전관리 강화

김창수 기자   |   등록일 : 2022-05-13 15:19:33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여름철 태풍·호우·폭염 종합대책' 포스터

 

정부가 태풍, 호우, 폭염 등에 대비해 읍··동 자율방재단 인력을 보강한다.

 

산사태 위험정보도 24시간 전 제공하고 산지 태양광 시설 허가 시 '재해위험성검토'를 의무화했다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내용의 '여름철 태풍·호우·폭염 종합대책'을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마련했다

 

먼저 신속한 기상 상황 전파를 위해 여름철 시범 운영하던 예보 브리핑을 연중 상시운영(1, 필요시 수시)한다. 홍수·댐 관계기관 간 회의 시 홍수·댐 방류 예상 지역에 대한 예상 강수유입량, 방류 여부 등을 관계기관 합동으로 집중토의한다.

 

단체 대화방(지자체, 기상청 등)을 운영해 현장 상황을 신속·정확하게 파악하고, 재난망 단말기 등을 활용해 재난정보를 실시간 전파·공유한다. 예보단계부터 관계기관의 상황판단·대책 회의 참여를 확대하고 중대본 비상단계(1~3단계)는 한발 빨리 상향해 대처할 계획이다.

 

이어 현장중심의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산사태, 사면 붕괴, 지하차도 등 취약지역·시설을 집중 조사·발굴해 재해 우려 지역으로 지정(5602개소)했다. 관리책임자도 복수 지정했으며 재난위험 문자 자동 알림을 통해 위험 시 신속히 주민대피를 유도한다.

 

산사태로 인한 인명피해 예방을 위해 산사태취약지역에 대한 예찰·점검을 강화하고 산지 태양광 시설 허가 시 재해위험성검토를 의무화했다. 마을 단위의 주민대피 등 대응력 강화를 위해 현장 조치 관계 기관(경찰, 소방서)과 협업을 강화하고 읍··동 단위의 지역자율방재단 인력도 보강했다. 아울러 댐·하천 홍수관리를 위해 댐 운영에 지자체, 주민대표 등을 참여시키기로 했다.

 

수문 방류 예고제도 기존 3시간에서 24시간 전으로 조정 운영하며 홍수기제한수위보다 낮게 댐 수위를 유지해 집중호우에 대비한 홍수조절용량을 확대한다. 또 산사태 발생 위험 예고를 기존 12시간에서 24시간 전으로 강화했다

 

산사태취약지역 확대 지정 및 산사태 현장 예방단을 활용해 예찰·주민대피를 지원한다. 산불 피해지 중 생활권 인접 지역에 대해서는 우기 전 신속히 응급복구해 2차 피해를 방지할 계획이다. 노후 저수지 붕괴방지를 위해 비상수문 및 간이 방류시설 설치도 확대해 갑작스러운 우수 유입량에 대비한 홍수 조절 기능을 보강한다.

 

도심지 내 차량 침수 및 인명 피해 발생 우려가 높은 둔치주차장, 지하차도 등에는 자동 차단시설을 지속 확충한다. 침수, 급류 휩쓸림 등으로 인한 긴급 구조 및 지원에 대비하여 소방·해경·경찰 간 정보공유 대책을 마련해 공동 대응하도록 추진한다.

 

대국민 행동요령 안내와 재난현장 생활안정 지원체계를 강화한다.

 

특히 피해 주민의 조기 생활 안정을 위해 구호물품 258278세트와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14659개소를 확보하고 인명, 주택 및 농·어업 피해 등 피해 주민의 조기 생활 안정을 위한 '재난지원금' ()지급 및 간접 지원도 확대한다.

 

아울러 정부는 이상기후로 더워지는 여름을 대비해 폭염 대책기간(오는 20일부터 930)을 설정하고 폭염 인명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특히 야외근로자를 대상으로 폭염 취약성을 진단하는 자가진단 목록을 보급하고 공사장에 대한 폭염 예방조치 실태점검 및 홍보 강화 농촌지역 폭염 안전 사각지대 위주 예찰·홍보 강화를 위해 9개 시도 농업기술원, 154개 농업기술센터 등에서 고령층 농업인 대상 폭염 대처 교육 및 홍보 진행 전국 646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을 거점 무더위쉼터로 지정하고 폭염 대책기간에 지능형(스마트) 기기 등을 활용한 건강확인(체크)을 병행하는 등 취약계층 폭염 인명피해 방지 추진 등 '폭염 3대 취약분야'를 집중관리한다.

 

기존에 추진하던 범정부 폭염 대응체계 구성, 국민 생활 밀착형 폭염대책, 폭염 저감시설 확충 및 주요 예방대책도 빈틈없이 추진한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