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도시 속 자연공간, 도시숲’②

도시숲의 종류

공태윤 기자   |   등록일 : 2022-04-21 13:26:28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숲의 종류는 도시산림공원, 생활환경숲, 가로수가로숲, 명상숲, 전통마을숲, 경관숲 총 6가지로 세분화할 수 있다

 

 


▲녹색네트워크 개념도 <출처 : 산림청>

 

1. 도시산림공원

 

도시산림공원은 숲 체험 활동이 가능한 도시의 큰 허파로 도시숲 조성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기능별 구분한 유형 중 공원형에 해당한다.

비슷한 유형으로 생활환경숲, 녹색 쌈지숲, 산림공원, 학교 숲 등이 있다. 이곳에서는 도심 속 쾌적한 자연휴식공간 및 학습장소를 제공하며,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운동시설이나 화목원, 공연 등 부대행사가 진행되곤 한다. 또한 도시공원과 학교 숲 조성 등 도심의 작은 녹색 공간을 조성하는 데 밑거름 역할도 한다.

 

산림청에서는 도시민이 숲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다양한 숲을 조성하고 있다. 그중 녹색쌈지숲은 도시 내 소규모 자투리 공간을 활용해 작은 숲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또한 학교에 나무를 심고, 숲을 조성하여 청소년이 푸른 환경에서 교육받을 수 있는 학교숲조성사업도 있다. 학교는 도시 곳곳에 골고루 있기 때문에 숲 조성을 위한 별도의 토지를 마련하지 않고 도시숲을 만들 수 있다.

 

2. 생활환경숲

 

생활환경숲이란 도시의 공한지, 주택 및 공동주택 주변, 공공공지, 병원 및 요양소 주변 등 학교 및 생활권과 그 주변지역에서 국민에게 쾌적한 생활환경과 아름다운 경관제공 및 자연학습교육 등을 위해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을 말한다.

 

3. 가로수가로숲

 

가로수는 도시숲을 연결하는 역할로 도시미관을 향상하고 녹음을 제공하며 미기후 조절, 야생동물 이동 통로 확보 등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지역의 향토 수종, 열매가 열리는 나무와 꽃이 아름다운 나무 등을 식재해 축제와 연계함으로써 지역을 상징하는 랜드마크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가로수에도 선정조건이 있는데 미적 측면에서 잎의 모양, 수형, 색채, 단풍색 등이 아름다워야 하며 낙엽수일 경우 햇가지의 색깔, 여름의 녹음, 가을의 단풍색이 좋아야 한다.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소음저하, 대기정화 및 토양침식방지와 건강증진을 위해 잎의 지속기간이 길어야 하며, 겨울에도 푸름을 유지할 수 있는 상록성 수종이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내병성, 내충성 수종 등 열매가 있어 야생동물을 유인할 수 있어야 하며 생장력, 맹아력이 강해 생장에 지장이 없고 바람에도 강해 잘 쓰러지지 않아야 한다. 또한 도시 근교 야산에 자생하는 향토수종과 환경오염에 강한 수종이어야 한다.

 

대표적인 가로수로는 은행나무, 벚나무, 메타세콰이아, 대왕참나무, 이팝나무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도로결빙이 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상록수를 심어도 무방하다. 동백나무와 먼나무, 차나무 등도 가로수로 유용하다. 이들의 기능은 운전자나 보행자, 그리고 기타 사람에게 쾌적함과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한다. 또한 태양열을 흡수하고 눈안개 등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하며, 바람의 영향을 완화시켜 미세기후를 조절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수종별 조성현황 <출처 : 구글>


4. 명상숲

 

명상숲은 학교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숲을 조성함으로써 미세먼지 민감 계층인 초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교내 공기 질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숲을 활용한 친환경 생태교육 등 명상숲 조성을 통해 학생들이 숲에서 정서적 안정감을 갖고 꿈과 생각하는 힘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하고 아름다운 수목 및 화초류를 심는 쾌적하고 편안한 녹지공간이다.

 

5. 전통마을숲

 

전통마을숲은 우리 조상이 마을을 형성할 때, 홍수 피해를 막는 등의 마을을 보호하고 지형적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주민이 공동체를 구성해 인공적으로 조성하고 관리한 형태의 공간이다. 이러한 숲 조성을 통해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산악지형과 계절풍에 의한 혹독한 기후를 견디곤 했다.

 

6. 경관숲

 

경관숲은 휴양관광지, 연안, 하천 등과 인접한 우수한 산림경관자원의 보전형성 등을 위해 조성관리하는 산림과 수목을 말한다. 국토경관의 품격은 국토 면적의 64%를 차지하는 산림이 좌우하므로 수려한 국토의 경관자원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숲과 하천, 숲과 바다, 숲과 관광지휴양 등이 조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