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집·우리동네 정비사업 가이드’ 내용 캡처 <출처 : 서울시>
서울시가 지역 여건에 맞는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관련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시민용 정비사업 안내서인 ‘우리집·우리동네 정비사업 가이드’를 발간했다.
‘우리집·우리동네 정비사업 가이드’는 재개발·재건축을 비롯해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소규모주택정비사업 등 서울시에서 할 수 있는 각종 정비사업의 종류와 방법, 혜택부터 공공이 민간의 정비사업을 지원하는 신속통합기획까지 서울시 정비사업에 대해 쉽게 풀어 시민의 이해를 돕는다.
지역 여건에 따라 알맞은 사업방식에 대해 지역규모, 사업시행주체, 사업 진행을 위한 요건 및 과정, 용적률 체계 등 각 사업별 추진에 필요한 필수 정보를 담아 시민의 눈높이로 정리했다.
대규모 정비사업으로는 △도로 등 기반시설 여건이 열악하고 오래된 건물이 밀집한 지역에 가능한 재개발사업 △주변 여건은 양호하지만 건물이 30년 이상된 대규모 공공주택 단지에서 진행하는 재건축사업 △역세권이나 오래된 저층주거지에서 주민들 스스로 개발이 어려운 경우 공공이 사업을 주도하는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이 있다.
대규모 재개발·재건축이 어려운 저층주거지에서는 △2~3개 필지 단위로 진행하는 자율주택정비사업 △가로구역에서 개발이 필요한 경우 가로주택정비사업, △소규모의 역세권, 준공업지역 등을 개발하기 위한 소규모재개발사업 △노후한 연립주택 등 200세대 미만 공동주택에 아파트를 건축하는 소규모재건축이 가능하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서울시의 스피드 주택 공급으로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나, 다양한 사업 방식으로 인해 시민의 이해가 어려웠다”며 “이번 안내서 발간으로 정비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여러 유형의 정비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민에게 알리겠다”라고 밝혔다.
‘우리집 우리동네 정비사업가이드’는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배포되며, 서울시 전자책 홈페이지 eBook(ebook.seoul.go.kr)과 서울시 정비사업 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비사업 정보몽땅(cleanup.seoul.go.kr)’에서 정비사업 관계자, 시민 등 누구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