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간선급행버스체계 종합계획 수정계획 확정

국토부, 2030년까지 전국 55개 BRT 노선 구축 예정 등

박승규 기자   |   등록일 : 2021-11-08 16:31:31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국토부가 지난 3일 간선급행버스체계 종합계획 수정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출처 : 국토부>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BRT의 체계적 구축을 위한 간선급행버스체계 종합계획 수정계획(2021~2030)을 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난 3일 최종 확정했다.
 

간선급행버스체계 종합계획간선급행버스체계의 건설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수립하는 10년 단위 법정계획이다. 당초 2018~2027년을 대상으로 1차 계획이 수립됐으나, 3기 신도시 조성, GTX(광역급행철도) 추진 등 1차 계획 수립 이후 나타난 대도시권 교통여건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이번 수정계획을 마련했다. 이번 간선급행버스체계 종합계획 수정계획은 고품질의 BRT 확산으로 빠르고 편리한 대중교통 구현이라는 미래 비전을 설정했다.

 

먼저, 2030년까지 전국에 55BRT 노선을 구축해 나갈 계획으로, 철도·도로 등 관련 교통계획, 지자체 의견, 사전 타당성 용역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선정했다. 수도권은 GTX, 신도시 등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광역 간선 축 노선을 중심으로 총 25개 노선을 선정했고, 비수도권은 지자체 도심 간선축 역할을 수행하는 노선을 중심으로 총 30개 노선을 선정했다

 

특히 천안, 전주, 제주 등 대도시권이 아닌 지역들도 BRT 건설 필요성을 고려하여 BRT 구축계획에 반영했다. 55개 노선 중 1단계로 26개 노선을 늦어도 2025년까지 구축·운영할 예정으로, 사업별 우선순위에 따라 개발계획 수립 등 지자체와 사업관리를 철저히 할 계획이다. 또한 광역도로, 혼잡도로 등 도로사업 추진 시 BRT 병행 도입을 우선 검토해 BRT의 사업 추진 가능성을 높여갈 계획이다.

 

BRT 차량의 친환경차 전환을 추진해 전기·수소 등 친환경차 비중을 20200.04%에서 203050%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기굴절버스 등 친환경 대용량차량 투입을 확대하고, BRT 기종점 등에 수소·전기 충전 인프라를 갖춘 환승시설도 구축하여 친환경차 운행기반을 마련한다.

 

또한 전용차로, 우선신호 등을 통해 지하철 수준의 정시성·신속성을 갖춘 고급형 BRTS-BRT 도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S-BRT 시범사업(20201월 선정, 계양-대장, 인천, 창원, 성남, 세종) 중 창원 S-BRT2023년까지, 성남 S-BRT2025년까지 개통을 완료할 예정이다

 

2022년에 세종시에서 추진할 예정인 S-BRT R&D 실증사업(우선신호, 섬식정류장, 양문형 차량 등) 결과를 S-BRT 사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BRT 전용차로에서 자율주행차 실증, 데이터 고도화, 정밀지도 구축 등을 통해 2024년까지 자율주행 상용화 서비스 기반을 마련하여, 2030년까지 5개 이상의 자율주행 BRT 노선을 운영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주요 BRT 정류장에 전동킥보드·자전거 등 PM(Personal mobility) 교통수단의 환승 및 충전시설을 구축하여 BRT 접근성을 강화한다. BRT 노선, 사업 시행주체, 재원 분담 등에 대한 기관 간 이견을 효과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중앙정부, 지자체, 교통전문기관 등이 참여하는 권역별 BRT 협의체도 운영한다

 

아울러 BRT 추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지자체에 공유·전파하고, 선정된 우수사례에 대해서는 사업비 우선지원 등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또한 BRT 서비스 수준의 제고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서비스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BRT 사업 재정지원, 운송사업자 면허 갱신 등에 활용하여 BRT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이번 수정계획이 마무리되면 BRT 노선이 3배 이상 확대되고, 주요 간선도로의 통행시간(버스)30% 단축되는 등 대도시권 주요간선도로에서의 대중교통 서비스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효정 광역교통운영국장은 “BRT는 통행속도 및 정시성 확보 등 도시철도에 준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에도 건설비는 지하철의 1/10 이하, 운영비는 1/7에 불과하여 가성비가 높은 대중교통수단이라면서, “앞으로 BRT가 더 많은 국민들이 선호하는 대중교통수단이 될 수 있도록 BRT 구축계획과 주요정책과제를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