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 경관권역계획도 / 2025 의정부시 기본경관계획>
경기북부 중심도시인 경기도 의정부시는 서울 및 기타 경기 북부 도시와 연접한 지리적 이점과 북부 관공서 등 행정타운 밀집지역으로 유동인구가 많고 경관적 조망노출도가 높은 도시다. 의정부시는 기존 계획에 중점경관관리구역을 추가 설정해 경관사업의 추진, 경관협정 및 경관심의 운영 방안 등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실현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다.
의정부시의 경관계획 기본방향은 유형별 경관계획을 정립해 기본구상에서 설정한 경관 미래상(미래가 풍요로운 녹색선의 도시)를 달성하기 위해 경관 유형별로 경관관리 목표를 설정하고, 경관의 보전 및 관리, 형성을 위한 실행방안을 제시했다. 의정부시 전체 공간을 대상으로 점, 선, 면의 유기적인 경관관리를 위한 경관구조를 설정했다. 경관권역으로는 경관의 동질적인 특성을 고려해 권역을 설정했으며, 공간별·지역별 특성에 따른 경관관리방안을 마련했다,
경관축으로는 선적경관은 도로, 하천, 철도 등 선형적인 경관요소로서 경관의 연속성을 제고, 관리할 방안을 구축했다. 경관거점으로는 공간적 특성을 가진 랜드마크 경관거점으로 집약적 경관성 확보방안을 구축해 장소의 상징성 형성 방안을 마련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중점경관관리구역을 설정해 점적, 선적, 면적 경관 중에서 경관 정비 및 관리가 필요한 구역을 중점경관관리구역으로 설정했으며, 중점경관관리구역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경관의 보전·관리·형성 방향과 설계지침을 제시했다.
<그림 : 경관권역계획도 / 2025 의정부시 기본경관계획>
의정부시 경관계획 경관권역의 기본방향은 도봉산, 수락산 등의 수려한 자연광관 특성을 고려‧관리하기 위해 산림녹지권역을 설정했다. 그 외 시가지지역은 중심시가지와 신시가지, 행정·산업권역으로 구분해 권역별 경관관리 방안을 마련했다.
중심시가지권역은 캠프라과디아, 캠프 홀링워터 등 군공여지의 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며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및 경원선에서 도봉산 및 사패산의 산악경관이 조망된다. 또 도심 내 특화거리가 분포하고, 중랑천이 관통해 수변경관이 연출되나 옹벽 등의 위해요소가 분포하고 있다.
경원선, 경전철 노선이 집중되고 있어 교량 등의 경관관리방안이 필요하며 가능뉴타운, 금의뉴타운 해제지역 등이 분포하고 있어 종합적인 경관관리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구도심 경관의 회복과 활력 있는 도심경관 창출을 위해 하천의 생태 및 수변경관을 보전하고 주요 가로변 건축물의 적극적인 경관관리와 차별화된 지역문화를 창출하는 테마 경관을 형성하려 한다.
행정·산업권역은 부용천변으로 친수공간 형성 및 경기북구광역행정타운 조성으로 경관 여건이 변화됐으며 송산역 주변 시가지에 노후 건축물이 다수 분포하고, 청사로 주변 옥외광고물 정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추동근린공원 진입부의 낮은 인지도와 경전철 노선과 부용천의 통합적인 경관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경기도청북부청사 중심의 조화로운 시가지경관을 위해 추동근린공원 및 주변산지 자연경관을 보전하고 살기 좋고 조화로운 시가지 경관관리와 자연과의 어울림이 조화로운 행정타운 경관을 형성할 계획이다.
신시가지권역은 민락2지구, 고산공공주택지구 등의 신시가지 및 공여지 개발로 인한 경관여건이 변화되며, 송산로 주변 취락지가 다수 분포하고 있어 통합적인 경관관리가 필요하며 이미 조성된 택지개발지구와 신규 개발 사업이 예정되어 있어 지역 간 경관연계가 필요하다. 신숙주선생묘 및 송산사지 등의 역사문화경관자원이 산재하고 있어 이를 관리할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자연과 조화되는 녹색시가지 경관을 위해 부용산, 민락천 등의 자연경관 및 역사·문화 경관자원의 보전과 기 조성 신도시와 택지개발사업 대상지 간 조화로운 경관관리가 필요하며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문화경관 창출이 필요하다.
산림녹지권역은 도봉산, 사패산의 수려한 산악경관이 분포하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및 경원선에서 도봉산 및 사패산의 산악경관이 조망된다. 호국로 송추시계 인근에 과도한 옥외광고물 난립으로 인해 정비가 필요하며, 북한산 국립공원 주변 산지의 불법 경작지가 분포하며 북한산 국립공원 내 사찰문화재가 다수 분포하나 국립공원 진입부에 노후 건축물 및 옥외광고물이 분포하여 경관부조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토대로 자연과 역사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경관을 위하여 산악경관과 역사·문화자원의 보전과 산림과의 조화로운 시가지, 도로, 취락지 경관관리 및 다양한 지역문화를 창출하는 역사·문화경관을 형성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