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지역주도 초광역협력 지원전략③

국토교통‧산업 등 분야별 촉진정책 도입

김창수 기자   |   등록일 : 2021-10-15 09:50:02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인재-자본-일자리 선순환 위한 단계별 거점 육성 <출처 : 국토부> 

 

지역주민들이 초광역협력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산업인재양성 등 분야별 초광역협력 촉진 정책도 도입한다.

 

공간적으로는 단일의 경제생활권 조성 지원을 확대한다. 광역철도를 활성화하고, 광역 BRT 및 환승센터, 도로를 확대하는 등 중심부와 주변 도시 간 연결성을 대폭 강화하여 네트워크의 핵심인 광역교통망을 조성한다

 

대중교통 취약지에도 저렴한 택시서비스(100원 택시 등) 및 대체버스 지원 확대 등 소외지역 맞춤형 교통체계를 구축한다. 광역교통 중심지에는 범부처 지원이 융합된 도심융합특구, 기업과 청년 인재가 모이는 캠퍼스 혁신파크 등을 조성하고, 주거플랫폼투자선도지구도시재생사업 등을 통해 자족생활권을 구성하여 인재-자본-일자리 선순환을 위한 지역 거점을 육성한다.

 

산업 분야에서는 초광역협력 전략산업 육성을 추진한다.

 


▲지역 주도 초광역권 전략산업 선정 지원 <출처 : 국토부> 

 


▲기존 전략산업 정책과의 차별성 <출처 : 국토부>

 

지역 주도로 초광역권 단위의 미래 전략산업을 선정하면, 범부처가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단계적으로 지원한다. 초광역 산업협력 촉진을 위해 초광역 단위의 산업기반 구축과 기술인력 양성체계를 도입하고, 기존의 산업거점과 혁신거점의 연계도 강화한다.

 

아울러, 기업들이 초광역지역에 투자할 수 있도록 새로운 인센티브를 도입하고, 지방투자촉진법제정을 검토하는 등 투자 확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할 계획이다

 

인재 양성과 관련해서는 지역대학 혁신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초광역형 인재양성체계를 구축하여 지역인재의 정착을 유도한다. 구체적으로는 초광역권 공유대학 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대학 유형으로 제도화하여 학위를 인정하는 방안을 단계적으로 검토한다.

 


▲초광역 지역대학 혁신 및 지역인재 양성 <출처 : 국토부>

 

교육 분야 최초로 고등교육 규제특구인 고등교육 혁신 특화지역을 도입하고, 기존의 지역혁신플랫폼은 초광역형으로 단계적 전환을 지원한다. 또한, 사회관계장관회의 내 범부처 초광역 인재양성 협업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협업과제에 대한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