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부동산114]
2013년 서울의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형생활주택은 MB정부에서 늘어나는1~2인가구 대응을 목적으로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하며 부동산시장에 입성했다. 하지만 부동산114의 조사에 따르면, 2013년 서울에서 인허가 받는 도시형생활주택은 2만1,044가구로 2012년의 3만6,476가구 대비 42% 급감했다. 이는 2011년의 2만7,464가구 보다 적은 수준으로, 급감세로 볼 때 올해 인허가물량은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인허가 물량이 급격히 줄어든 이유는 정부의 각종 인센티브(주차장 건설기준 완화, 소음기준 완화, 건축물간 거리규제 완화, 관리사무소 등 부대시설 설치의무 면제)에 주요 원인이 있다. 단기 공급확대의 순기능이 있었지만 규제가 지나치게 완화되면서 도시형생활주택의 주거환경이 아파트나 오피스텔 대비 크게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도시형생활주택의 주 수요층으로 기대했던 1~2인 가구 조차 열악한 환경에 선뜻 분양에 나서지 않으면서 '애물 단지'로 전락한 상황이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 동안 서울에서 인허가 받는 도시형생활주택은 총 9만3,138가구(1개구 평균 3,725가구 수준)다. 이 중 가장 많은 물량(비중)을 차지하는 곳은 강서구로 6,924가구(7.43%)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영등포(5,462가구, 5.86%), △마포(4,938가구, 5.30%), △구로(4,860가구, 5.22%), 송파(4,843가구, 5.20%), △관악(4,828가구, 5.18%), △강동(4,764가구, 5.11%) 순으로 인허가 물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도시형생활주택의 인허가 이후 준공/입주까지 2년 가량(도시형생활주택은 공사기간이 1년~2년으로 빠른 편)의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서울 구 별로 재고물량에 대한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따라서, 도시형생활주택과 경쟁관계에 있는 오피스텔도 초과공급에 대한 부작용으로 임대수익률과 매매가격이 동반 하락하는 추세에 있어 우려감이 더 높은 상황이다. 부동산114는 '2014~2015년까지 9만 여 가구의 도시형생활주택이 모두 입주하고 나면 기존 주택시장의 회복세에도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는 수준이므로 도시형생활주택 재고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에 대해서는 조심스런 접근이 요구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