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부동산&건설

서울시, 노후 '시립수락양로원' 에너지효율 극대화 건축물로 리모델링

남산창작센터 이어 공공건물 제로에너지빌딩 전환…설계공모 당선작 '집의 재생' 공개

박승규 기자   |   등록일 : 2021-06-30 13:41:43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노후화된 시립수락양로원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친환경 건축물로 재탄생한다. <출처 : 서울시>


30년 가까이 어르신의 휴식처로 사용돼오며 노후화된 시립수락양로원이 건물 내부로 빛과 공기를 유입시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친환경 건축물로 재탄생한다.

 

서울시는 노후화된 시립수락양로원을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제로에너지빌딩(ZEB)으로 리모델링한다고 밝히고, 최적의 설계안 마련을 위해 실시한 설계공모 당선작 <집의 재생>(건축사사무소 니즈건축, 호서대학교(박진희) 공동응모)을 공개했다. 제로에너지빌딩(ZEB, Zero Energy Building)은 단열성능 극대화(패시브), 고효율 기자재 교체(액티브), 신재생에너지 생산 등을 통해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고, 효율은 극대화하는 녹색건축물을 말한다

 

이번 사업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 배출량 제로를 목표로 시가 추진 중인 2050 온실가스 감축 추진 계획의 하나다. 공공건물 제로에너지빌딩(ZEB) 전환사업 1호로 추진 중인 남산창작센터에 이어 두 번째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시 소유 공공건물의 제로에너지 시범모델을 적극적으로 선보임으로써 민간 확산을 유도하고,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68.8%를 차지하는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시립수락양로원1992년 준공된 본관과 2008년 증축된 별관 총 2개 동(연면적 1500, 지하1~지상1)으로 되어있다. 30년 가까운 시간이 흐르면서 건물이 노후화돼 현재는 벽체 균열, 배관 누수 등 환경이 열악하고, 에너지 성능도 저하돼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서울시는 그린리모델링을 통해 시립수락양로원을 제로에너지빌딩(ZEB)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공간 전체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베리어프리, barrier free) 디자인을 적용해 어르신들의 거주 만족도와 생활편의, 이동의 용이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뒀다. 시설설비 교체와 함께 패시브(passive) 및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설계기법을 적용해 제로에너지(ZEB) 5등급 이상의 에너지효율로 개선한다는 목표다. 제로에너지(ZEB) 5등급은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이 1++ 이상이며 에너지자립률을 20% 이상 확보하고, 원격계량검침기를 설치해야 한다.

 

당선작 <집의 재생>은 증축을 통해 2개 건물을 연결해 하나의 집으로 만드는 안을 제안했다. 에너지 저감과 쾌적한 실내공간을 위해 꼭 필요한 요소인 빛과 공기가 건물 내부에 흐를 수 있도록 지붕 상부에 창을 설치한다. 자연채광을 적극적으로 유입시켜 조명에너지를 절감하고 공기순환도 원활해져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다.

 

지붕에 노후화된 아스팔트 슁글을 철거 후 쿨루프를 도입하고, 기존 태양열 온수시스템은 존치해 냉난방 부하 저감을 유도한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디자인을 통해서는 기존에 있었던 침실과 공용공간의 단차를 없애고, 화장실은 면적을 넓혀 어르신들의 이동생활 편의성을 높인다. 당선팀에게는 기본 및 실시설계 계약 우선협상권이 주어진다.

 

서울시는 당선자와 함께 오는 11월까지 기본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12월 착공에 들어가 20226월까지 공사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설계공모(2021.5.13.~6.21.)는 다양한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 사업 특성을 고려해 우수한 설계자를 선정하기 위한 제안공모 방식으로 진행됐다.

 

참가 접수부터 작품 제출~최종 심사까지 전 과정을 종이가 필요 없는 디지털 공모방식으로 진행됐다. 국내 유명 건축가 등 6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공정한 심사를 진행했다. 2등은 김윤수(바운더리스 건축사사무소), 3등은 이창헌(인하우징건축사사무소)가 각각 선정됐다.

 

이동률 서울시 기후변화대응과장은 이번 설계공모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의 68.8%를 차지하고 있는 건물부문의 제로에너지 시범 모델을 제시했다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공공이 선도하고 민간건물로의 확산을 유도해 탄소중립 정책 실현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