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해 기술개발과 실증을 결합한 혁신성장동력 R&D를 추진하고 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총 1287억원을 지원하고, 대구시와 경기 시흥시 2곳에 데이터 허브모델 개발과 실증을 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챌린지(City)는 기업, 대학 등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지자체‧시민의 수요를 반영하는 새로운 방식의 Bottom-up의 사업이다.
기업 등을 중심으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인 솔루션을 발굴하고 ‘도시’ 단위에서 이를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스마트시티 챌린지(Village)는 지자체와 지역의 리빙랩을 중심으로 작은 규모의 지역 수요에 최적화된 스마트 서비스를 발굴하고, 이를 실증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예컨대 지역의 특성과 연계해 미세먼지 저감, 문화관광 및 재래시장 활성화 등을 위한 계획수립과 조성을 지원한다.
스마트시티 리빙랩은 시민이 모여 도시의 문제를 직접 발굴하고, 이를 민간의 스마트 기술로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이자 거버넌스로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를 조성하기 위한 핵심요소이다. 정부는 시민, 기업,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가 협력하며 스마트시티를 조성할 수 있도록 리빙랩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사업은 U-City R&D의 대표적인 성과과제로 지자체가 개별 운영하는 방범, 방재, 교통 등 각종 정보시스템을 통합플랫폼에 연계해 도시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특히 112, 119, 재난망 그리고 사회적 약자 지원서비스를 통합플랫폼과 연계함으로써 도시를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 공간으로 조성하고 있다. 통합플랫폼은 2023년까지 전국 229개 지자체 전체로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며, 기초지자체와 112, 119센터 등의 연계를 위한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광역센터도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는 스마트시티 조성과 확산을 위해 규제완화를 포함한 제도개선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국가 시범도시가 신기술의 테스트베드가 될 수 있도록 자율차‧드론‧신재생에너지, 개인정보 활용 등과 관련된 규제들을 시범도시 내에서는 완화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기존도시를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사업과 서비스 유형을 다양화하고 민간제안 사업방식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유형과 방식으로 기존도시의 스마트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나가고 있다. 이와 함께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에 제약이 되는 관련 규제를 일괄 해소하는 스마트시티형 규제샌드박스 도입도 병행하는 등 규제개선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