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UN 조사에 따르면 2050년까지 세계 인구가 50억명에서 90억명으로 증가하고, 도시화율은 70%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급속한 도시화에 따라 인구와 자원소비가 도시에 집중되면서, 미세먼지, 교통 혼잡, 물 부족, 재난 등 각종 사회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도시의 지속가능성에 큰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도시문제 해결과 도시의 지속가능한 번영을 위해 대안으로 스마트도시에 주목하며, 빅데이터‧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도시 추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스마트도시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기술을 활용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높여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정의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ICT기술과 삼성, LG 등 글로벌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보급률 세계 1위, IT 발전지수 2위 등 IT 친화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스마트도시 정책은 △U-City 구축단계(2007~2013) △시스템 연계단계(2014~2017) △스마트시티 본격화 단계(2018~)로 구분한다.
우선 2013년 마무리한 U-Eco City 연구개발(2007.8~2013.6, 1000억원)을 추진해 U-City 기본서비스 및 요소기술, 통합플랫폼 등 기반기술을 개발했다. 또한 제2기 신도시 및 행복도시‧혁신도시 등 택지개발 사업에 고속정보 통신망 시스템(ICT)을 구축했다. 2014~2017년 진행한 시스템 연계 단계는 이미 구축한 스마트 인프라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공공을 중심으로 정보 및 시스템 연계사업을 추진했다.
지능화 도시 정보시스템 연구개발(2013.12~2019.3, 236억원)을 바탕으로 공공분야 5대 연계서비스 통합플랫폼 보급을 시작했다.
2018년부터 지금까지 진행하고 있는 스마트도시 본격화 단계는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의 테스트베드, 리빙랩, 혁신생태계 등 새로운 개념들을 포괄하는 정책으로 확대했고, 정부의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중 하나로 국가 시범도시 조성, 기존도시 스마트화 강화, 산업 생태계 구축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그간 정부는 스마트도시의 성공적인 조성과 확산을 위해 재정투자 확대와 과감한 규제개선 등 적극적인 정책지원을 해왔다. 이에 많은 지자체가 스마트도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2019년 6월 기준 전국 78개 지자체가 스마트도시 전담조직을 확보했고, 스마트시티 정부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지자체는 총 67여 곳으로 집계되고 있다. 각 지자체는 지역 특성에 맞는 스마트도시를 조성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