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지 현장사진/자료=서울시]
서울시가 재건축지역인 마포구 염리동과 학교(강서구 공진중)의 실질적 효과를 바탕으로 여성원룸밀집지(관악구 행운동), 재래시장(중랑구 면목동), 외국인 거주지(용산구 용산2가동), 공원(양재시민의숲 등) 등 서울시내 곳곳에 적용해온 범죄예방디자인을 이번엔 소공장 밀집지대까지 확산한다. 금천구의 가산동과 독산동 일대가 그 대상이다. 나사 등 자동차 부품이나 기계 및 장비를 만드는 가내수공업 공장이 30%에 이르고 주거(70%)가 혼재돼 있는데다, 도시환경정비사업 무산으로 건축물 노후 불량도가 64%에 이르는 지역·좁은 골목, 어두운 조명 등 각종 안전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실정이다. 또, 지자체 외국인 비율 전국 2위(안행부, 2013)로 인근 서울디지털 23단지 및 대상지내 소공장 외국인 근로자로 인해 외국인 범죄가 다수 발생한다는 점도 고려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공장과 주거가 혼재해 있는 소공장 지대 환경의 취약요인 및 주민의 행태를 분석해 범죄예방디자인의 해결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대상지 선정은 범죄심리학자, CPTED분야 전문가, 경찰청 관계자, 행동심리학자, 커뮤니티디자이너 등 총 14인의 ‘범죄예방디자인위원회’ 경찰청 추천을 받아 1차 서류심사와 2차 현장방문을 거쳐 최종 이뤄졌다. 서울시는 공장지대에 적용하는 범죄예방디자인은 이번이 첫 시범사례인 만큼, 이에 걸 맞는 새로운 형태의 범죄예방디자인 모델을 개발해 올 연말까지 적용·완료하고 사례를 보급해 추후 확산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서울시는 지난해 시범대상지 3곳 △관악구 행운동(싱글여성 밀집지역) △중랑구 면목동(재래시장, 사회적 약자 밀집지역) △용산구 용산2가동(외국인 밀집지역)에도 염리동 사례처럼 올해 각각의 마을 성격에 적합한 커뮤니티 강화 및 맞춤형 디자인을 확대 시행 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2012년부터 경찰청, 형사정책연구원 등 범죄예방디자인 위원회와 함께 범죄유형별 환경개선을 통한 범죄 심리 위축 시급성이 요구되는 장소를 선정해 2012년 마포구 염리동(재건축), 강서구 공진중학교, ‘13년 관악구 행운동, 중랑구 면목동, 용산구 용산2가동, 양재시민의 숲(공원) 등에 적용해왔다. 특히 첫 사례인 마포구 염리동의 경우 1년 후 효과를 평가해본 결과, 소금길 주변의 절도는 12%, 강간은 한 건도 일어나지 않아 절대적 수치에서 범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는 물론 세계가 주목하며 영국의 범죄예방디자인센터(DAC)를 통한 학회 소개, 다큐 제작, 연구, 벤치마킹 등으로 이어졌다. 국내의 경우 법무부, 각 시도 자치단체, 경찰청, 학회, 학교 등 1,100여개 단체 총 2,900여명이 벤치마킹 차 현장을 방문한 바 있다. 강태웅 서울시 관광정책관은 “재건축 지역, 싱글여성 밀집지역, 소공장 밀집지역 등 범죄에 취약한 다양한 지역 특성에 맞는 범죄예방디자인을 확산하고자 한다”며, “장기적으로는 범죄가 일어나기 힘든 환경, 이웃들이 함께 커뮤니티를 통해 서로에게 관심을 갖는 환경을 뿌리내림으로써 각종 범죄 발생률을 낮춰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