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인천시,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2030년까지 22→35.7%로 상향

영흥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 등 추진

박승규 기자   |   등록일 : 2021-05-21 11:24:26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인천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2030년까지 22%에서 35.7%로 상향하기로 했다. <출처 : 인천시>

  

인천시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늘려 인천형 그린뉴딜의 추진동력을 확보하고, 저탄소·친환경 그린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한다.

 

인천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계획을 수립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상향 설정했다고 최근 밝혔다.

 

시는 이번 계획에서 최근 주목받는 수소 산업과 추진 13년 만에 정상궤도에 진입한 해상풍력발전 전망을 반영했으며, 시민참여를 통해 태양광 발전보급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지표도 관내 발전량의 40%만 지역 내에서 소비하는 점을 고려해 전체 인천시 관내 발전량 기준이 아닌 전력소비량을 기준으로 산정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급에 대한 시민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03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당초 22%에서 35.7%13.7%p 상향 설정했다. 이번 보급 목표는 2018년 수립했던 기존 계획의 한계를 보완하고, 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과 장기에너지 전망 등 변화된 정부정책과 전망을 반영해 공격적으로 높인 것이다.

 

시는 이번 계획에서 인천형 수소발전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수소생산클러스터 구축을 통한 광역권 수소경제 발전 견인, 분산형 블루수소 전원체계로 석탄화력 조기폐쇄 기반 마련, 수소마을기업 구축을 통한지역상생발전 실현, 생활 속 연료전지 보급으로 생활밀착형 수소생태계 조성 등의 과제를 추진한다.

 

용유무의 인근해상과 굴업도에 지역상생발전을 연계하는 600MW급 해상풍력단지 조성이 추진되며, 어민과 상생하는 친환경 개발을 위한 협의체도 운영한다. 또한 태양광 발전으로 발생한 이익을 공동체와 공유하는 공유형 태양광발전, 조합형태의 법인을 구성해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고 발생한 이익을 배당금 형태로 조합원에게 배분하는 시장형 태양광발전 등이 시민 주도로 추진된다.

 

시는 그동안 신재생에너지 관련 연구기관 및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신재생에너지 자문단으로부터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및 전략에 대한 자문을 받아 계획의 완성도를 높였다. 또한, 분야별로 세미나 개최, 주민·어업인 협의체 구성, 지역 순회 방문 설명회 추진, 현장 실사 등을 진행했다.

 

시는 이번 계획의 목표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총 8조원 규모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민간 주도로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고, 시는 발전사업의 인허가 등 행정절차 이행 및 주민수용성 확보 지원에 집중할 계획이다.

 

유준호 시 에너지정책과장은 환경특별시 인천은 다수의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한 발전소와 항만, 산업단지 등으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대한 시민 수요가 높은 도시라며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공격적으로 상향한 만큼 연차별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영흥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 등을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