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건축물의 예술품,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 ④

미디어 파사드의 해외 사례

임주혁 기자   |   등록일 : 2021-05-21 15:04:40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쿄 샤넬타워 전경<출처 : 재팬포토> 

 

 

미디어 파사드의 사례는 해외 여러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먼저 건축가에 의해 디자인된 일본 도쿄의 소비지역인 긴자에서 주오구 거리를 중심으로 미디어 파사드의 적용사례를 살펴본다.

 

Tokyo’s CHANEL Tower(도쿄 샤넬 타워)는 건축가 피터 마리노(Peter Marino)2004년에 디자인한 건물로 이스라엘 국적의 예술가 마이클 로브너(Michal Rovner)가 예술적 영상물과 미디어 파사드를 디자인했다

 

70만여개의 화이트 LED로 낮에는 해당 건물을 이용하는 보행자들이 외부를 볼 수 있고, 야간에는 배경이 어둡게 되어 디스플레이로 활용한다. 샤넬 브랜드의 전통적인 패션 이미지를 건물에 있는 이용자에게 미디어 영상이 서로 소통할 수 있게 한다. 커튼월 시공 방식의 강철 메시와 유리의 층 사이에 LED를 결합했고 전면의 파사드에 설치한 LED는 주관 경관을 해치지 않게끔 스크린화 방식으로 설치했다.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기보다는 건축물 외벽, LED, 전면 유리를 이용해 모노(Mono)톤으로 도시 이미지 형성에서의 미디어 파사드 표현 특성 톤의 실루엣 연출을 이뤄 이미지로 나타냈다

 

주로 샤넬 고유의 패턴 그래픽이 연출되긴 하지만 우천 시에는 우산을 쓰는 사람의 형상이 나타나 그날에 날씨 정보를 알려주기도 한다

 

2007년에 완공된 Armani Ginza Tower(알마니 긴자 타워)는 이탈리아 건축가 Doriana e Massimiliano Fuksas(도리아나&마시밀라노 푸크사)의 작품으로 건물 외관의 경관조명 디자인은 영국의 스페어&메이저에서 담당했다. 건축물의 외관은 수직으로 뻗은 수많은 선과 그 위에서 빛을 내는 조명들이 장식됐으며, 이 조명은 낮과 밤 모두에 걸쳐 서로 다른 색상과 밝기로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해당 건축물의 조명 디자이너는 브랜드에 사용된 Fabric을 대나무 형상으로 표현했다

 

건축물을 대나무 형상에 바디로 연결 제작하여 색채의 변화를 주었고, 조명색은 도쿄의 변화하는 거리를 간접적으로 표현해줄 수 있도록 했다. 건축가 쿠마 켄고(Kengo Kuma)에 의해 2008년 완공된 건물인 Tiffany Ginza Building(티파니 긴자 빌딩)은 약 292장의 유리 패널로 시공돼 빛이 들어오면 만화경처럼 난반사되는 다이아몬드의 반짝임을 표현했다

 

야간에는 반사되는 유리 패널 사이에 LED 조명을 이용해 쥬얼리 브랜드의 반짝임과 투명성을 표현했다. 보석이 빛을 받아 빛을 머금은 듯, 빛나는 것을 건물에 표현하려는 것이 이 건축물에 의도라고 할 수 있다. 기존 건물과 대지 경계 사이의 80cm가량의 틈새로 유리와 알루미늄 벌집으로 만든 패널을 장착해 빛이 투과하는 다이아몬드와 같이 빛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패널을 다양한 각도로 배치하여 외관을 표현했다.

 

아르마니긴자타워 전경<출처 : 긴자타워홈페이지>

▲티파니 긴자빌딩 전경<출처 : 구글 로드뷰> 

 

이번 글은 미디어 파사드에 조명의 기술적인 실태를 넘어 실제 디자인에서 건축적 재료로서의 입면 디자인에 대해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LCDLED 조명 기술에 발전에 의해 건축물의 입면이 대형 스크린화되어 가고 있다

 

이 같은 특징이 단지 스크린의 특성에 국한된 것이 아닌 건축적인 특성을 보이기 위해 건축 자재화를 위한 디지털 색상 체계 연구는 중요하다. 특히 이러한 색채를 고찰하고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 과정 중의 하나일 것이며, 정량적으로 색체계에 의한 연구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LED의 직접적인 높은 조명의 직관적인 연출보다 상업적으로만 이용되는 영상물이 아닌 건축 입면에 대한 커다란 디자인의 개념으로 인식되는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앞으로 LED 산업의 발전으로 경제적으로 건축물의 입면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가치가 기대되며, 미디어 파사드 자체가 건축물 입면 전체의 마감 재료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적 재료로서의 기능적 범위를 넓힐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