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서울시, 총56만 동 건물…온실가스 집중관리 시스템 구축

서울시, 전체 배출량 산정기간 분기별로 단축

조혜원 기자   |   등록일 : 2021-03-12 10:25:26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 건물별 온실가스 배출량 조회 화면 < 출처 : 서울시>

서울시가 총 56만여 동에 이르는 서울시내 전체 건물의 온실가스를 한 번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GIS 기반의 '서울시 온실가스 집중관리 시스템'을 구축했다.

서울시 온실가스 집중관리 시스템은 모든 건물의 에너지(전기, 도시가스, 열)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한 번에, 즉시 조회할 수 있다. GIS(지리정보시스템) 기반으로 서울시내 모든 건축물의 건물용도, 연면적 등 건축물 관리대장 정보도 포함했다.

이 시스템은 작년 7월 서울시가 발표한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추진전략의 후속대책으로 서울지역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건물' 부문이 가장 큰 비중(68.8%)을 차지하는 서울의 특성에 맞는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는 건물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건물 유형별로 배출허용량을 설정하고 건물별로 관리하는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를 비롯해 ‘제로에너지건물(ZEB) 전환’, ‘그린리모델링’, ‘건물 에너지 효율화사업(BRP)’ 등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온실가스 집중관리 시스템을 ‘건물 에너지 효율화사업(BRP)’과 같은 서울시 건물 온실가스 감축사업의 정책효과를 평가하는 내부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정책 시행 전후 변화를 집중 모니터링해 각 사업을 평가하고, 보완·발전시켜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시스템 구축을 통해 서울 전역의 온실가스 배출원을 파악하고 총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DB화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도 대폭 개선했다. 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려면 관련시간에서 일일이 연간 통계자료를 확보해야 했기 때문에 2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됐지만, 이번 시스템 구축으로 기존에 연 단위 통계자료를 월 단위로 세분화하여 연간 통계값을 조속히 추정할 수 있다. 

이동률 기후변화대응과장은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는 건물별, 지역별 온실가스에 대한 집중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면서 “이번 시스템 구축을 통해 주요 시책사업과 연계해 활용하고, 분기별로 관련 DB를 업데이트 및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