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는 1958년 최초로 대기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하고, 대기질 가이드라인(AQG, Air Quality Guidelines)을 제정했다.
이후 2006년부터 실내공기질에 대한 별도 지침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2010년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WHO Guideline for indoor Air Quality)을 처음 발표했다. 해당 가이드라인에서는 생물학적 실내 공기 오염물질의 문제 등을 다뤘다. 2014년도에 발간한 2012년 실내외 대기오염으로 인한 질병부담 보고서에서 공기질 관리의 중요성 및 기준을 제시했다.
한국은 실내공기오염 및 감염성 오염원은 과학기술기반 사회문제 종합실천계획에 포함되면서 실내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범부처 합동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2015~2019)을 수립 추진했다.
실내공기 오염도 10% 이상 저감을 위해 신규 오염물질 관리체계 마련, 실내오염원 사전예방 관리, 관리체계 합리적 개편, 건강영향 사전관리 등 4가지 핵심분야 제시 및 다중 이용시설, 학교, 사무실 등 실내공기질 관리 강화 등을 추진했다.
현행 실내공기질 관리는 환경부, 교육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에서 분산 관리하고 있다. 먼저, 환경부는 지하역사 등 24개 시설군과 신축공동주택 및 대중교통차량의 실내공기질을 관리하고 있으며, 기타 관계부처에서는 개별법에 따라 학교, 사무실, 공중이용시설(공연장, 실내체육시설 등) 등의 실내공기질을 관리하고 있다.
▲부처별 실내공기질 관리현황<출처: 기획보고서>
미래 한국사회의 삶의 질 만족과 사회적 신뢰향상을 위한 10개의 미래유망기술로 시스템 기반 미세먼지 대응기술 및 17개의 세부이슈 겸 미래수요로 쾌적한 실내공지 유지를 선정했다. 지난 2019년 실내공기질 관리 강화방안을 추진하면서 2022년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2017년 대비 약 10% 저감을 목표로 설정해 실내공기질 개선 및 관리기반을 강화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영유아, 노약자 등 취약계층을 우선 고려해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의료기관 등 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미세먼지 저감 수단 지원 확대 및 실내공간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쾌적한 대중교통 이용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하역사, 대중교통차량 내의 환기설비 및 초미세먼지 권고기준 신설 등 공기질 개선 및 관리기준을 강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