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광역자원회수시설 건립을 추진하기 위해 전문가와 주민대표, 시의원 등으로 구성된 ‘서울시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위원회’를 15일 출범한다.
위원회는 오는 2021년 2월 전문연구기관을 선정해 같은 해 3월부터 8월까지 시 전역을 대상으로 입지후보지 타당성 조사 용역을 실시할 계획이다. 용역 결과는 시민에게 열람 및 일간지, 시보, 시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개하고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최종 입지를 결정하게 된다.
입지선정을 위한 조사 단계부터 시민에게 입지선정위원회 활동을 수시로 공개하고 필요시 공청회 또는 설명회를 개최하여 시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시는 광역자원회수시설 신규 건립을 위해 지난해 5월부터 12월까지 2차례에 걸쳐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 공모를 실시했으나, 신청지가 없어 이번 입지선정위원회 구성을 통해 광역자원회수시설 건립을 추진하게 됐다.
시가 광역자원회수시설 건립 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 상황 등을 사전에 파악하기 위해 지난 9월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생활쓰레기 대책관련 인식조사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민 10명 중 7명(72%)은 최근 생활쓰레기 배출량이 늘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폐기물처리시설의 확충이나 증설에 대해 시민 10명 중 8명 이상(85.8%)이 찬성한다고 답했다.
최근 1인 가구 증가와 코로나19에 따른 배달산업 성장으로 서울지역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다. 이에 따라 시에서 운영 중인 4개 광역자원회수시설과 은평뉴타운 자체 소각시설만으로는 시설용량이 부족하여 상당량의 생활폐기물을 직매립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인천시에서 2025년 수도권매립지 운영 중단을 선언하고 자체매립지 조성에 나서고 있어, 앞으로 서울시의 생활폐기물처리에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2026년부터는 수도권에서 가연성폐기물 매립이 금지되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시는 생활폐기물 발생지 처리원칙에 따라 직매립 제로화 달성을 위해 광역자원회수시설 신규 건립, 종량제봉투내 폐비닐 선별시설 설치, 재활용 선별시설 확충 등의 폐기물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정수용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의 생활폐기물이 증가하고 있는데다 오는 2026년에는 수도권의 가연성폐기물 매립이 금지되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시는 입지선정위원회 운영에 적극 협력하고 주민 수용성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