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24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 올해 제2차 도시재생 뉴딜 신규사업으로 서울 중랑과 부산 북구 등 총 47개소를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은 일반근린형 33개, 주거지원형 4개, 우리동네살리기 10개다.
신규사업은 먼저 광역 시‧도가 지자체로부터 제출받은 사업계획을 평가해 선정 후보사업을 마련하고, 국토부가 전문가 평가단을 통해 사업 실현가능성과 타당성을 평가했다. 이후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 선정 후보사업의 사업계획 적정성, 국비지원의 타당성 등을 심의해 최종 47개를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47개 사업은 2024년까지 총 1조7000억원이 투입되고, 총 615만㎡의 쇠퇴지역에서 도시재생이 이뤄질 예정이다. 일자리는 마중물 사업을 기준으로 약 9000개(건설단계 약 7000개, 운영‧관리단계 약 2000개)가 창출될 전망이다.
47개 사업지에서 노후저층 낙후된 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1972호에 대한 집수리, 36호에 대한 빈집정리가 추진되고 공공임대주택 741호가 공급된다. 전신 지중화는 10개 사업지 총 9.05km에서 추진된다.
또한, 구도심의 도시공간 혁신 및 상권 활성화를 위해 마을 주차장‧문화시설 등 98개의 생활SOC시설이 공급되고, 로컬푸드 판매‧청년 창업공간 등 57개의 산업‧창업지원시설이 건립될 계획이다. 특히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해 위험건축물 정비 등으로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그린뉴딜‧디지털뉴딜 정책을 구현하는데 역점을 뒀다.
전남해남‧고흥은 △위험건축물정비, 대구중구 등 5곳은 △방치 건축물 리모델링, 경기용인 등 12곳은 노후‧미활용 공공시설 활용 등을 통해 지역에 필요한 SOC가 공급된다.
총 37개의 사업지는 제로에너지건축 또는 그린 리모델링을 적용해 환경친화적인 도시재생이 되도록 계획하고, 서울 양천과 경기 용인은 주차공유시스템, 스마트가로등 등 스마트기술요소를 적용해 지역문제를 더 효과적으로 해결할 예정이다.
올해 1차로 선정한 23개 사업에 이어, 이번 2차 선정으로 47개 사업이 추가됨에 따라 올해 선정된 사업 수는 총 70개다. 또한, 연말 3차 선정을 통해 50개 내외의 사업을 추가 선정할 예정으로, 올해 선정 물량은 총 120개 내외가 될 전망이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시작한 2017년부터 작년까지 선정된 사업은 총 284개로 전국 157개 지자체에서 활발하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공공임대주택공급 1만5000개(170개 사업지), 빈집 정리 1200호(185개 사업지), 주차장‧도서관‧공원 등 생활 SOC 919개소 공급 등이 이뤄질 계획이다. 특히 올해말에는 최초로 전체 마중물사업이 완료되는 사업지가 탄생하는 등 사업성과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백원국 국토부 도시재생사업기획단장은 “도시재생뉴딜사업이 181개 지자체, 354개 사업으로 확대돼 이제는 전국사업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면서 “사업수가 증가한 만큼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함께 사업을 보다 세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