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드론, 지적재조사 활용↑…올해 70% 넘어설 듯

강원도 양구군 북한 접경 비무장지대도 전격 적용

김창수 기자   |   등록일 : 2020-10-29 10:51:29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드론 측량계획<출처: 국토부>

국토교통부가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중 하나인 드론을 활용해 지적재조사사업을 확대한다. 

일반적으로 지적재조사는 300필지 내외의 사업지구 단위로 추진되며, 필지별 지적측량 및 토지현황조사, 경계조정‧협의, 측량성과검사, 지적공부 제작 등 약 2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국토부는 △무인비행장치 활용 지적재조사 추진계획 수립(2016) △지적재조사 드론 적용 실험사업(2016) 및 시범사업(2017) △드론 운용 매뉴얼 마련(2017) △드론 확산 실험사업(2019) 등 지적재조사 모든 공정에 드론을 활용함으로써 사업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성과물의 품질도 대폭 높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드론을 활용해 촬영한 영상은 지적재조사 추진공정 전반에 활용되며, 2017년 지적재조사사업에서 39%에 그치던 활용률이 2019년에는 51%로 증가했다. 국토부는 올해 7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북한 접경 비무장지대에 있는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일대 1만2000여 필지, 62㎢를 대상으로 지적재조사사업을 지난 26일부터 한 달간 추진한다. 일명 ‘펀치볼 지역’이라 불리는 이곳은 70여 년간 주인이 없는 무주지(無主地)로, 모든 지역이 지적불부합 토지임에 따라 주민 재산권 행사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국토부는 이러한 주민 숙원사업을 해결하기 위해 올해 19억원의 지적재조사 사업비를 긴급 지원하고, 사업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드론 측량기술을 전격적으로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여의도의 21배 면적에 해당하는 펀치볼 지역은 드론 측량할 경우 6개월에서 1년가량 사업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드론을 활용해 지역특성상 지뢰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뱀 등 해충의 공격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데 크게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남영우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한국판 뉴딜사업의 성공과 국토의 디지털화를 위해 지적재조사사업의 촉진이 필요한 시기”라면서 “지적재조사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적기에 사업을 마무리하기 위해 지적재조사 사업 전반에 걸쳐 드론을 활용한 측량기술의 적용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