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강원 횡성형과 경남 밀양형 일자리를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선정하고,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지방투자촉진 보조금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0일 제2차 상생형 지역일자리 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강원 횡성과 경남 밀양은 지역 노‧사‧민‧정 간 대타협으로 상생협력을 체결하고, △투자 △고용 △생산 △판로 △이익분배 등 사업을 구체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정부도 맞춤형 컨설팅과 관계부처 특별팀을 활용한 사전점검으로 노‧사‧민‧정 간 상생협력을 구체화했다. 또한 사업타당성 및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해당 지자체와 지속해서 소통한 바 있다.
산업부는 강원과 경남이 상생형 지역일자리 신청 후, 분야별 전문가 타당성 평가를 거쳐 이번 심의위원회에서 최종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강릉 횡성형 일자리는 전기차 관련 중소기업이 모여 이익과 위험을 공유하는 협동조합(디피코 등 7개 기업)을 결성하고, 총 742억원 투자(평가기관 3년 내 590억원 투자) 및 503명을 고용해 초소형 전기화물차를 생산한다.
특히, 협동조합 내 완성차업체와 협력업체가 초과 이익을 공유하고, 물류, 판매망 등을 공동 활용해 비용을 절감할 계획이다. 노사관계도 적정임금 보장과 직무중심의 임금체계에 합의하고, 강원도는 정주여건 개선, 사업환경 기반 조성 등의 지원을 통해 근로자와 업체에 특전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경남 밀양형 일자리(한황산업 등 8개 업체)는 친환경·지능형 뿌리산단(하남산단)을 조성해 총 1594억원을 투자(평가기간 3년 내 1281억 투자)하고, 245명을 신규 고용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 입주기업은 주민상생기금 조성, 환경설비 의무화 등을 통해 인근지역 주민의 지지와 협력을 끌어냈고, 원·하청 기업 간에도 납품단가 연동제 준수, 납품 물량 보증 및 확대 등 공정거래와 동반성장을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앞으로는 최신 자동화 설비를 구축해 근로자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생산에 드는 비용·시간을 절감해 시장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정부는 각 지역 상생형 일자리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기업지원센터, 지식산업센터, 기술개발 등을 지원하고, 근로·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복합 문화센터, 직장 어린이집, 일터혁신컨설팅 등 고용·복지 프로그램을 지원하기로 했다.
성윤모 장관은 “두 지역의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투자여력이 크지 않은 중소기업이 유기적으로 모여 대규모 투자를 하고, 공동사업 등을 통해 참여기업 간 상승효과를 창출하는 새로운 상생 모델”이라면서 “횡성형 일자리는 중소기업 중심의 초소형 전기화물차 생태계 조성을 통해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고, 밀양형 일자리는 입지·인력난의 이중고를 겪는 뿌리기업을 친환경·지능형기업(ACE)으로 변모시켜 산업경쟁력을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선정된 지역에 대한 적극적 지원과 함께 신규 상생 모델발굴을 위한 전국 순회 설명회, 맞춤형 컨설팅 등을 통해 상생형 지역일자리가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