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스마트시티 국내외 현황②

국내 스마트도시 추진현황

유태윤 기자   |   등록일 : 2020-09-18 13:50:53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정부는 지난 2017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8대 혁신 성장 선도사업을 선정해 추진하고 있다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은 스마트시티,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핀테크, 미래차(전기·수소차· 자율차), 드론, 에너지신산업, 스마트팜, 스마 공장 등이다. 그간 분야별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 수립 및 성장기반을 마련하고, 8대 선도사업에 대한 2019년 재정투자도 전년대비 78% 대폭 확대했다. 이와 함께 데이터경제, 인공지능, 수소경제 등 3대 전략투자 분야 및 공통분야로 U-City 구축 시스템 연계 스마트시티 본격화 혁신인재양성을 8대 선도사업과 연계해 추진 중이다.

 

정부는 스마트시티 정책을 여건변화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장진화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2013년까지 제2기 신도시 및 행복도시·혁신도시 등 택지개발 사업에 고속 정보통신망·시스템(ICT) 구축사업을 결합했다. 스마트시티 인프라 구축에는 300당 평균 약 15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그중 2007~2013년 추진한 U-Eco City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U-City 기본서비스 및 요소기술, 통합플랫폼 등 기반기술을 개발했다.

 

2014~2017년 추진한 시스템 연계는 이미 구축된 스마트인프라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공공을 중심으로 추진했다. 그중 236억원이 투입된 지능화 도시정보시스템 R&D사업을 통해 개발한 공공분야 112 긴급영상 긴급출동 119 긴급출동 재난안전상황 사회적 약자지원 이상 공공분야 5대 연계서비스 기반 통합플랫폼을 보급을 시작했다. 2019년 기준 37개 지자체에 보급됐다.

2018년부터는 스마트시트 본격화를 위해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의 테스트베드, 리빙랩, 혁신생태계 등 새로운 개념을 포괄하는 정책으로 확대한다. 이중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중 하나인 국가 시범도시 조성, 기존 도시 스마트화 강화, 산업생태계 구축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전망이다.

 

▲스마트시티 발전단계<출처 : 국토교통부>

다수 지자체도 스마트시티 전담조직을 구성하며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초기 특별광역시 등은 신도시와 택지개발 사업을 토대로 스마트인프라 구축사업을 적용하면서 지자체간 수준격차가 있었다그러나 최근에는 ICT 등 융·복합 기술을 활용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하는 지자체가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2019년 6월 기준 전국 78개 지자체는 스마트시티 전담조직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정부의 다양한 정책 추진 및 조성확산에 힘입어 스마트시티 정부지원사업을 추진하는 지자체도 총 67곳으로 집계되고 있다.

*지자체 전담조직 추이: 2014년 10개 → 2018년 34개 → 2019년 6월 78

 


▲국내 스마트시티 추진 지자체 현황<출처 : 국토교통부>

2014년 스마트 서비스는 방범·방재(35%) 교통(32%) 등 2개 분야가 67%를 차지하며 특정 분야에 집중됐다그러나 최근에는 방범·방재(24%) 교통(22%) 이외에도 행정(15%) 환경·에너지·수자원(15%) 시설물관리(8%) 보건·복지(7%) 등으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중 지자체의 서비스 현황(2018.10)<출처 : 국토교통부>

앞으로 스마트시티는 기존 인프라 구축 중심에서 탈피해 데이터 중심 플랫폼 구축 또는 신산업 창출과 연계된 혁신공간 창출로 전환에 관심이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