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연관 키워드 맵 <출처 : 국토교통부>
4차산업 시대의 축소판 ‘스마트시티’
스마트시티는 물리적 도시시설 및 공간이 인터넷과 실시간 연결되는 loT와 ICT가 접목되어 이용자들에게 실시간 도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도시상태를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중반부터 도시공간에 정보통신 기술을 적용하는 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이후, 1995년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을 시작하였고, 2000년 구축된 정보를 기반으로 도시를 시스템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시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했다.
2004년 ITS839 전략을 수립하여 국내 스마트시티의 전신인 유비쿼터스 도시(U-City)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했으며, 2008년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U-City 법」을 제정하여 신도시 지역에 U-City법에 의거한 기반시설을 법으로 규정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로 2028년 이후 총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감소는 대규모 개발 수요 감소로 이어져 도시쇠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 같은 저성장 추세는 신규 투자 감소 및 도시 인프라의 노후화를 초래하지만, 공유경제 등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속할 것으로 보인다.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도 국민안전을 크게 위협하는 요소다.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은 온실가스로, 온실가스의 80%는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교통‧주택 등 도시생활과 관련된 부분이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절반 가까이 차지해 스마트시티의 빠른 도입이 필요하다.
이미 유럽 등 선진국은 노후화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가능 스마트시티 모델을 추구하고 있다. EU는 올해 온실가스 배출 20% 저감, 에너지 효율 20% 향상 등을 위해 스마트시티를 활용하고 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IoT, 블록체인 등 디지털 기술은 경제‧사회전반에 융합해 도시 내 초연결 및 초지능화를 가속할 전망이다. 주거‧이동‧경제활동 등에서도 유연성과 연계성, 지능화 확대가 대두할 것으로 보인다. 자율자동차, 지능형 로봇, 드론, 신재생에너지, 수소경제 등 다양한 신산업이 출현하고, 산업구조 혁신과 함께 일자리 수요도 변화할 전망이다. 특히, 자동화‧지능화로 단순 제조업 일자리는 줄고, 창의적‧고숙련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