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역에서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을 연결하는 수인선이 오는 12일 전 구간 개통된다. 수인선 개통으로 수도권 서남부지역의 교통이 크게 편리해질 전망이다.
수인선 사업은 총사업비 2조74억원이 투입된 국책사업으로 1995년 7월부터 2004년 5월까지 기본계획 및 설계용역을 거쳐, 2004년 12월 1단계 구간 공사를 시작해 총 3단계로 나눠 시행됐다.
2012년 6월 가장 먼저 개통한 1단계 구간은 오이도~송도를 잇는 13.1km 구간이다. 2016년 2월에 개통한 2단계 구간은 인천~송도(7.3㎞)를 거쳐 오이도역까지 총 20.7km 14개역을 운행해왔으며, 하루 평균 약 3만 5천 명이 이용하고 있다.
수원~한대앞 구간의 개통으로 기존 협궤 노선 폐선(1995년 12월) 이후 25년 만에 처음으로 수원과 인천 구간이 하나의 철도로 연결된다. 이번 수원~한대앞 개통으로 수인선(수원~인천)은 분당선(수원~분당~왕십리‧청량리)과 직결해 전철이 운행된다. 수인선‧분당선 직결 시 총 운행거리가 108km 달해 수도권 전철 노선 중 3번째로 긴 노선이 탄생한다.
수인선‧분당선은 6칸 전동열차를 운행할 계획이다. 직결운행 횟수는 평일 96회(상행 48회, 하행 48회), 휴일 70회(상행 35회, 하행 35회)이고, 영업시간은 05:36~00:17분까지다.
수인선이 전 구간 개통되면 인천 및 경기 서남부지역(시흥‧안산‧화성‧수원)에서 경기 동부지역(용인‧성남 등)간 이동이 편리해지고, 주요 거점역인 수원역(KTX, 경부선 일반철도, 1호선, 분당선 이용 가능)으로 가는 거리와 시간이 모두 크게 줄어든다.
지금까지는 인천, 시흥, 안산, 화성에서 수원역까지 전철망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 버스를 이용하거나, 금정역 및 구로역까지 이동하여 1호선으로 환승해야 했다. 그러나 수인선의 개통으로 인천역에서 수원역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어 편리하게 왕래할 수 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수인선 전 구간 개통으로 인천과 경기 서남부 지역이 더욱 가까워진다”면서 “앞으로도 광역교통망 확충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