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시설물 노후화와 기상이변이 속출해 빅데이터를 적용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한국시설안전공단과 지난 13일부터 교량‧터널‧건축물 등 시설물 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사업을 착수한다고 밝혔다.
최근 시설물 노후화가 심화되고, 호우·폭염 등 기상이변이 속출함에 따라 시설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과학적·체계적인 시설물 유지관리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간 시설물 관리주체가 제출한 안전진단 보고서는 관리주체의 안전진단 실시 여부를 확인하거나, 부실진단 여부를 평가하는 수단으로 주로 활용됐다. 그러나 최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 등으로 시설물 안전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
국토부는 시설물 안전정보를 DB화할 수 있도록 지난해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을 재구축하고, 올해는 시설물 안전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하는 사업에 착수했다. 또 정확한 정보를 선별·입력할 수 있도록 총 31개 대학 2300명을 선정했다. 이들은 자택에서 PC를 통해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사전에 안내받은 매뉴얼에 따라 시설물의 안전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하게 된다.
한편, 이 사업은 코로나19 감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비대면 방식으로 추진함으로써 참여자 간 접촉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김태곤 국토부 시설안전과장은 “이번 사업은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인 시설물 안전관리에 기여할 것”이라며 “향후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해 시설물의 보수·보강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설계기준을 갱신하는 등 시설물의 붕괴 등 위협으로부터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