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부동산&건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화재 증거물 감정센터’ 시범운영

화재 증거물 수거‧전문 장비활용 과학적 발화원인 규명

김창수 기자   |   등록일 : 2020-08-06 10:21:42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과학적인 화재원인 규명을 통해 지난 4월부터 화재 증거물 감정센터(가칭)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화재 증거물 감정센터(이하 감정센터)는 화재현장에서 직접적인 발화원인이 될 만한 증거물을 수거해 실험과 분석 등을 통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화재원인 규명에 나서고 있다.

지난 6월에는 강동구 소재 건물 분전반 인입 전선 누전 화재사례에 대한 재현실험을 통해 ‘건물에서 누전된 전류는 접지선을 통해 흐르면서 지중의 전기가 통하는 물체와 접촉돼 발열이 일어나 화재로 이어질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규명했다. 

또 반복적인 멀티탭 스위치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화재사례에 대해 증거물 감정 및 재현실험을 통해 접촉 불량에 의해 발화되는 현상을 확인했다. 

감정센터는 TV PCB 전원부 코일의 국부적인 발열현상을 실험과 분석을 통해 규명했으며, 이를 통해 제조사의 자발적인 리콜을 유도하기도 했다.

해당 부품이 들어간 국내 ‘ㄱ’사에서 판매된 약 6만대 제품 중 일부에서 콘덴서 불량 또는 코일 발열현상이 발생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2020년 1월부터 5월까지 동일 기종의 제품에서 총 4건의 사례가 신고 접수되면서 PCB 전원부 코일 발열현상임을 규명했다.  

또 시 소방재난본부는 국내 ‘ㄴ’사에서 생산한 식기세척기에서 발생한 화재 증거물을 수거해 분석한 결과 세척기 바닥에 설치된 건조 팬모터 층간단락에 의한 발화원인을 규명했다. 

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이와 같은 결과는 지난해 1월 1일부터 지난 5월 20일까지 ‘ㄴ’사가 제작한 동일제품에 대한 총 5건의 화재신고를 접수한 후, 감정센터에서 X-ray, 디지털 현미경 검사 등 감정·분석 결과를 통해 얻은 결과”라고 밝혔다.

신열우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은 “과학적인 발화원인 규명을 통해 제조물 화재로 인한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민 권익보호에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