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호우 국민행동요령 포스터.<출처: 행안부>
행정안전부가 여름철 매년 반복적으로 피해가 큰 풍수해, 폭염, 물놀이 안전사고를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대비태세를 강화하기로 했다.
올해 여름 강수량은 723.2mm로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겠으나 대기 불안정으로 집중호우는 증가하고, 폭염일수는 20~25일(열대야 12~17일)로 평년 9.8일과 작년 13.3일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코로나19 장기화로 해외여행 수요가 급감해 국내 주요 여행지 물놀이 활동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재난안전사고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정부는 풍수해 안전관리 사각지대 발굴을 통해 인명피해 우려지역을 확대하고, 현장책임관(공무원)·관리관(주민대표) 복수 지정, 예찰 활동 강화, 위험차단시설 설치 등 안전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수요자 맞춤형 위험 안내를 위해 산사태 등 취약 주민에게 위험 알림 문자를 전송하는 방식을 시범 도입하며, 매년 반복적으로 차량 침수사고가 발생하는 둔치주차장을 대상으로 ‘차량 침수위험 신속 알림 시스템’을 확대 구축하기로 했다.
여름철 폭염 피해 및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폭염 관련 정보를 통합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해 상황관리 등에 활용하고, 개방 운영 중인 실내 무더위쉼터의 방역 강화 및 정자‧공원 등 야외 무더위쉼터를 추가 확대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또 온열질환 사망자의 34%를 차지하는 논·밭에서의 어르신 피해를 줄이기 위해 부모님께 안부전화하기 캠페인 등 홍보를 강화한다.
행안부와 복지부, 해수부 등 중앙부처에서는 물놀이 안전 관계부처 협의회 구성·운영을 통해 안전점검, 코로나19 예방·교육 등 체계적인 안전관리대책을 추진한다. 지자체는 관계기관과 안전·방역 협업체계를 구축해 물놀이장별 코로나19 예방 지침 준수 등에 대한 점검을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안전관리 강화 대책은 확산 방지를 위해 수용인원 50% 축소, 거리두기 등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실내 무더위쉼터에서의 운영지침을 마련하고, 실내에서 감염병이 확산하지 않도록 방역 관리를 철저히 한다는 방침이다. 또 물놀이 활동 시에도 방역관리 철저, 차양시설 및 이용자 간 거리두기, 개인물품 사용 등으로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한 안전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안영규 행안부 재난관리실장은 “코로나19 방역과 함께 올여름 재난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