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심층취재

공공청사에 택배집배송 시설 설치 허용

국토부, 국토계획법 하위법령 개정안 입법예고

김창수 기자   |   등록일 : 2020-07-21 14:46:14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앞으로 공공청사 등에 택배 집‧배송 시설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수소차 보급 확산으로 수소충전소가 확대되고, 도시가스사업자 외의 가스공급시설 설치자가 가스공급시설도 설치하는 것이 허용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국토계획법 하위법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한다고 21일 밝혔다. 

개정안은 포스트 코로나 대응 및 포용기반 확충을 위한 도시 분야 규제혁신방안 중 하위법령 개정사항이 반영됐다. 비도시지역 난개발 방지를 위한 입지규제 합리화, 제도운영상 미비점 개선사항 등도 포함됐다. 

우선 입지규제 개선 및 합리화로는 비대면 경제 대비 생활물류시설 입지규제가 개선된다. 코로나19로 비대면 경제가 확산함에 따라 공공청사 등에 편익시설로 택배 집‧배송 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농림지역에서는 원활한 농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농림지역 내 농기계수리점 입지도 허용된다. 

수소자동차 보급 확산 및 이용자 편의를 위해 수소충전소 입지가 가능한 도시계획시설을 공공청사 등 4개 시설 외 체육시설 등 시민 이용이 많고 복합적 토지이용이 가능한 7개 시설까지 확대한다. 

기반시설 설치 절차 간소화를 위해 기반시설 등 도시관리계획 결정 없이 설치할 수 있는 임의시설로 도시가스사업자뿐만 아니라 도시가스사업자 외의 가스공급시설 설치자가 설치하는 가스공급시설까지 허용한다. 

보행자우선도로 지정대상도 확대된다. 이면도로 중 보차혼용도로에서의 보행자 안전을 위해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먼저 고려해 조성하는 보행자우선도로 지정대상을 현재 폭 10m 미만 도로에서 폭 20m 미만 도로까지 확대한다.

계획관리지역에서는 지자체가 성장관리방안을 수립한 때에만 공장 및 제조업소의 입지를 허용하되, 적용시기는 성장관리방안 수립기간을 고려해 3년 이상의 유예기간을 두기로 했다. 

입지규제 최소구역계획 변경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 정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는 경미한 변경사항의 근거를 마련해 절차를 간소화한다. 계획관리지역 중 집수구역 내 휴게음식점 등의 입지를 허용하는 기준의 적용상 불명확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10가구 이상의 자연마을이 ‘모두 집수구역 안에 형성된 경우’로 명확히 한다. 기존에는 10가구 이상의 자연마을에 대한 공간적 범위가 불명확해 지자체마다 상이하게 운영했다. 

주거지역과 숙박시설의 이격거리 기준도 명확화한다. 숙박시설·위락시설과 주거지역 간 이격거리 측정 기준점의 적용상 불명확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건축법에서 이격거리 산정 기준점으로 주로 활용되는 ‘건축물의 각 부분’으로 명확히 한 것이다. 기존에는 이격거리 산정 시 숙박시설 등 건축물의 대지 경계선을 기준으로 하는지, 건축물 자체를 기준으로 하는지 측정기준점이 불분명했다. 

개방행위허가 관련 일부 미비점은 개선된다. 행정청은 불법 개발행위에 대해 원상회복 명령 시 조치할 내용과 기한을 명시해 서면으로 통지하도록 하고, 개발행위허가 신청서를 변경 신청서로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이상주 국토부 도시정책과장은 “이번 입지규제 개선을 통해 경제 활력을 제고하고 포용성을 확충하면서 도시 분야의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강화하겠다”면서 “앞으로도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난개발 방지가 조화될 수 있도록 입지제도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