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심층취재

환경부,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 본격 추진

2025년까지 드론‧디지털트윈‧AI 적용…추경에 약 13억원 반영

김창수 기자   |   등록일 : 2020-07-08 10:57:09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댐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개요도. <출처: 환경부>

정부가 그린뉴딜의 일환으로 올해 하반기부터 무인기 등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해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다. 

환경부는 올해 하반기 댐 안전점검에 무인기를 본격 도입하고, 2025년까지 3차원 가상공간(디지털 트윈)과 인공지능 기반의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한다고 지난 6일 밝혔다. 

환경부는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해 제3차 추경 예산에 무인기 구입비용 및 인력비용 등 총 13억1200만원을 반영했다.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 내에 댐 안전점검・관리를 전담하는 댐 안전관리센터(가칭)도 구축해 체계적으로 댐 기반시설을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 구축 전후 비교1.<출처: 환경부>

무인기 활용 댐 안전점검은 무인기로 댐 상태를 영상 촬영 후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해 벽체 등 댐체의 손상여부를 살피는 지능형 안전점검 방법이다. 기존에 사람이 작업줄 등으로 댐체를 타고 내려가며 맨눈으로 결함 여부를 점검하던 것을 무인기를 활용해 접근이 어려웠던 곳도 꼼꼼히 점검할 수 있다. 

환경부는 내년부터 구축 예정인 댐 3차원 가상공간을 통해 무인기로 점검한 사진, 영상 자료 등을 누적 입력해 빅데이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구축한 빅데이터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댐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데 사용할 방침이다. 첨단기술 도입으로 선제적 댐의 보수‧보강이 가능해 위기대응 능력이 높아지고, 노후 댐의 성능을 개선해 댐을 오랫동안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환경부는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지난 6일 대청댐 국가안전대진단 현장을 방문해 무인기를 활용해 안전 점검하는 방안을 들었으며, 한국수자원공사 관계자로부터 디지털 트윈, 인공지능 등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해 댐의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 전반에 대해서도 보고를 받았다. 

조명래 장관은 “한국수자원공사 직원에게 사각지대 없이 꼼꼼하게 댐을 안전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선도적으로 첨단기술을 댐의 안전점검에 도입해 그린뉴딜의 대표 사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밝혔다.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 구축 전후 비교2.<출처: 환경부>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 구축사업은 4차 산업기반의 드론,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등을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에 적용해 선제적 보수‧보강, 성능개선 및 자산관리로 댐의 장수명화를 목표로 한다. 

환경부는 환경부 댐 37개소(△다목적댐 20 △용수댐 14 △홍수조절용댐 3)를 대상으로 총사업비 1061억원을 투입해 2025년까지 마칠 계획이다. 주요 사업은 드론기반 안전점검과 실시간 모니터링, 안전관리 플랫폼 구축 등이다.

환경부는 드론기반 안전점검을 통해 기존 육안진단에서 공중・수중드론을 이용한 비대면 3차원 영상분석으로 더욱 정밀하게 댐 손상여부를 진단한다는 방침이다. 

또 첨단장비(GPS, 실시간 계측기 등)를 활용, 기존 하루 1회 실시한 댐의 거동계측을 실시간 안전감시체계로 전환하고, 계측자료의 빅데이터화, 인공지능(AI) 분석 등을 활용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의 플랫폼 및 댐 안전관리센터 구축할 계획이다. 

조명래 장관은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를 차질없이 추진해 위기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국민들의 물 사용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환경부는 오는 10일까지 섬진강댐, 소양강댐, 안동댐, 대청댐, 주암댐, 선암댐, 사연댐, 대암댐, 안계댐, 수어댐, 연초댐, 영천댐 이상 12개 댐을 대상으로 국가안전대진단을 진행한다. 선정기준은 40년 이상 경과됐거나 정밀안전점검・진단 결과 C등급 이하 댐이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