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택배 등 급증하는 생활물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심 인근 유휴부지에 생활물류시설을 확충한다.
16일 국토교통부는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한국도로공사, LH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코레일, ㈜SR, 서울교통공사, 통합물류협회 등과 함께 생활물류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그간 택배업계는 소비자에게 쉽게 접근 가능한 도심지 인근 집‧배송센터 등 생활물류 기반시설을 설치하길 희망했지만, 신규부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와 관련, 국토부는 교통물류실장 주재로 ‘공공기관 유휴공간 활용 생활물류시설 확대 회의’를 개최하고, 협의체를 통해 공공기관이 보유한 유휴부지 및 공간을 생활물류기업이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시 지역은 좁은 도로, 부족한 주차공간 등으로 택배 근로자가 근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민원도 지속 발생하고 있다. 국토부는 신규 입지 확보가 어려운 도시 내 공공시설 등의 유휴공간을 활용해 집‧배송센터를 비롯한 생활물류시설을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또 철도역사 및 차량기지 내 유휴공간, 지하 공실상가, 도로변 유휴부지 및 고가교 하부, 환승센터에도 생활물류시설을 설치·활용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유휴공간을 적극 발굴해 생활물류시설로 활용함으로써 증가하는 생활물류수요를 충족하고 대국민 생활물류서비스 질을 향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serrrrr@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