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중소기업 규제 완화, 경쟁력 강화

코로나19 이후 중소기업 위한 제도 정비

김혜은 기자   |   등록일 : 2020-04-28 11:15:25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규제예보제 도입 개요/자료=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에게 불리한 규제관련 법령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해 중소기업의 의견이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규제 예보제” 도입을 위한 용역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중소기업들은 대기업에 비해 불리한 규제가 만들어지는 것을 알기도 힘들고 ‘침묵하는 다수’가 되기 쉽다.
 
이번 규제예보 시스템은 기존 제도를 보완하기 위해 중소기업에게 부담이 큰 규제에 대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적 방법으로 사전 영향을 분석하는 쌍방향 의사소통 시스템이다.
 
통상 입법 과정은 전문가들 위주로 진행되고, 의원입법은 규제영향평가도 선행되지 않아 법령 시행 후 중소기업들이 사후적으로 규제 신설을 알고 문제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중소기업들의 소극적인 참여가 대부분인 것도 중기부가 제도 도입을 검토하게 된 또 다른 이유다.
 
지난 해 환경부는 총34회의 간담회 등을 하였으나, 고시 시행 후 언론의 집중적인 문제제기 보도 및 중소기업 단체의 항의 집회가 있었다.

중소기업 옴브즈만 제도는 이미 시행중인 규제 법령에 대한 기업인의 개선 요구를 반영하면 규제 예보제는 신규로 만들어지는 규제 입법에 대해 국민이 직접 참여 중소기업 규제를 사전 예방하는 시스템이다. 옴부즈만이 치료약이라면, 규제 예보제는 예방주사와 같은 기능인 것이다.
 
중기부는 규제 예보센터를 설립해 부처 입법예고, 의원입법 등에 대한 업종별 영향 분석, 인공지능을 통해 최적의 의견수렴 대상자 선정, 소셜미디어를 통해 인포그래픽스를 제공한 후 피규제 기업집단 및 대중의 의견을 피드백 받는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기업 규제 예방은 국가경쟁력, 고용창출과 직결되는 비용이 들지 않는 최적의 경쟁력 강화 방안이다”며, “선진국형 규제 예보제 도입을 통해 국회의 입법권을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중소기업을 옥죄는 규제신설에 대한 의견 제시 창구를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중소기업 #규제예보제 #인공지능 #의사소통 #옴브즈만 #고용창출 #국가경쟁력 #규제신설

gpdms123@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