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지난해 8건의 인공지능 활용사례를 기술보고서에 반영한 데 이어, 이번 회의에서 17건의 활용사례를 추가 반영했다.
국내에서 개발한 자연어 질의응답, 챗봇, 질병 관리, 진단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사례가 담겨 있어, 국내외 인공지능 서비스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우리 대표단은 인공지능 기술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담보할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에 대한 신규 표준화 작업의 필요성을 제시하기도 했다.
XAI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금융대출심사 결과에 대해 “Why”에 대한 논리적 인과관계를 설명해 주는 등 인공지능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기술이다. 현재 연구개발이 활발한 분야로 향후 각국 전문가와 표준과제를 발굴해 국내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과 김정렬 국립전파연구원장은 “회의가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돼 여건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산·학·연·관이 협력해 AI 국제표준화 작업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데이터 관련 우리 기술의 신규 국제표준화 제안, 자문작업반 신설 추진 등 향후 우리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에 교두보가 되어줄 수 있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특히 “산업부와 과기정통부의 부처 협력을 통해 인공지능 융합서비스 모델에 대한 적극적인 표준화를 추진해 인공지능 분야의 국제표준화를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지진·산불 등 재해대비 문화재 관리 드론 전략
한편, 인공지능(AI) 영상분석기술이 탑재된 드론이 문화재 현장에 내년부터 상시로 투입된다.
문화재청은 이러한 AI 영상분석기술 탑재 드론을 활용한 문화재 안전관리 전략을 연말까지 마련하기로 했으며, 이 계획에 따라 내년부터 현장에 상용화시키기로 했다.
지진이나 산사태 등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면 사적과 천연기념물 보호구역 등 광범위한 지역의 문화재 피해는 신속하게 파악하기 힘들고, 관리인력을 상시 배치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이러한 어려움 해결을 위해 드론을 활용하는 방안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문화재청은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관련 전문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재난안전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드론기술의 현황을 파악해 문화재 현장 활용방안을 검토했다.
그 결과 평상시 예찰과 경계활동에 의한 상시점검(모니터링) 등 예방·대비단계에서는 드론의 효용성이 상당할 것으로 판단, 문화재 현장 맞춤형 기술 개발 연구와 시범구축을 연차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문화재청은 문화재 현장에 드론을 도입할 경우 △자율순찰과 AI 영상분석을 통한 이상현상 자동알림 △무인순찰을 위한 드론 스테이션(드론 자동 충전 설비 장치) 설치 △실시간 다중영상 전송기술 등이 필요하다고 보고, 관련 성능 검토와 기술개발 과제를 발굴해 연말까지 중장기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드론이 문화재현장에서 사용화되면 산불, 태풍 등이 문화재에 접근할 때를 대비한 예찰활동은 물론, 지진과 산사태 등 넓은 지역에서 피해가 발생할 시 문화재의 상황을 더욱 빠르게 파악해 2차 피해 확대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정부혁신 차원에서 4차 산업 시대에 부합하는 첨단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문화재 가치가 훼손되기 전에 예방단계에서부터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문화재 안전관리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