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래시장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주문한 식품을 드론으로 배송 받고, 한라산 중턱에서 조난 시 드론으로 긴급 구급물품을 받는 등 드론 활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20년 드론 실증도시로 △제주도 △부산시 △대전시 △경기도 고양시 등 4개 도시를 선정하고, 드론기업 상용화를 지원하는 규제샌드박스 사업 13개 기업을 선정했다고 22일 밝혔다. 국토부는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해 이르면 6월부터 시범테스트에 착수할 예정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실증도시 공모는 총 25개 지자체 컨소시엄이 참여했다.
드론 실증도시는 지난해 2개 도시보다 확대된 4개 도시를 선정해 각 지자체마다 최대 1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실증도시 심사 시에는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드론 서비스를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지자체들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2년 연속 실증도시로 선정된 제주도는 드론을 활용한 안심서비스를 고도화해 위험 상황을 지인에게 알려주는 스마트 기반의 안전 모니터링과 한라산 응급환자 발생 시 구조대원 도착 전 드론 구급물품 배송서비스 등을 실증으로 선보인다.
또 새롭게 선정된 부산시는 초고밀도 지역 및 낙동강 생태공원의 환경관리, 자연재해·재난 등을 드론으로 해결하는 통합형 시스템을 구축해 실증하고, 해외 자매도시에 서비스 수출을 계획 중이다.
대전시는 전 지역 비행금지구역으로 드론 비행이 어려운 상황에서 도심 가스선로 점검, 공공기관 옥상을 활용한 긴급배송 정밀 이·착륙 실증 등을 수행한다.
고양시는 싱크홀 사고 현황 파악 등 시설물을 진단·점검하고 실시간으로 분석·전달하는 정보기술 중심의 안전관리를 드론을 활용해 실증할 계획이다.
규제샌드박스 사업에는 총 34개 컨소시엄(94개 드론기업)이 참여해 13개 기업이 선정됐다. 규제샌드박스 선정기업은 엔텍로직, LIG넥스원, 니어스랩, 그리폰다이나믹스, 엑스드론, 4S Mapper, 아르고스다인, 유콘시스템, 피스퀘어, 에어온, 그루젠, 드론버스, 블루젠드론 등이다.
국토부는 국내 드론기업들이 혁신기술과 서비스를 조기에 사업화할 수 있도록 재정적·행정적 지원의 ‘드론 규제샌드박스 사업’을 지난 2018년부터 추진해 왔다.
규제샌드박스 공모사업으로 △한강에서의 드론 음식배달 서비스 △정밀제어 짐벌카메라 개발 △드론방호시스템 구축 △AI 기반 사물인식 기술 △조난자 소리 감지 드론개발 등을 실증할 드론기업에게 기술실증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대 4억 원씩을 지원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번 사업 이외에도 우수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드론기업들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개선 및 해외판로 개척 등 다양한 방식으로 드론업계를 지속 지원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드론 실증도시와 규제샌드박스 사업은 우리 드론기업들에게는 국내 시장에 한발 앞서 안착할 기회를 제공하고, 규제당국에는 선제적으로 규제 개선을 검토할 수 있는 좋은 사업”이라고 말했다.
#드론실증도시 #드론신기술 #규제샌드박스 #규제개선 #해외판로개척 #정밀제어 #짐벌카메라 #드론방호시스템 #긴급구급물품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