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국도, 일반국도 등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RMS)을 앞으로 지방도 등 지자체 관할 도로에도 적용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그간 주요 간선도로를 관리하며 축적한 지적자산인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을 지자체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연계한다고 21일 밝혔다.
도로관리시스템(RMS)은 도로 포장, 비탈면, 교량, 터널 등 체계적 관리를 위해 12종의 유지관리시스템을 건설연 등 전문기관이 함께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강원도와는 관할 지방도로의 포트홀, 균열 등 포장 위험요소 관리와 노후 교량, 터널 보수가 가능토록 정부의 도로관리시스템을 개방하고, 축척된 기술을 지원토록 협력한다.
또 경기도에는 관할 지방도로의 포트홀, 로드킬 등 도로불편을 즉각 신고하고 24시간 내 접수처리가 되도록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 중 ‘척척해결서비스’를 경기도 도로모니터링단이 사용·연계토록 지원한다.
척척해결서비스는 도로의 이용불편 및 위험신고 민원을 스마트폰을 통해 접수하고 관할 도로관리 기관에 이관하는 서비스다.
국토부 관계자는 “향후 정부의 데이터 기반의 첨단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이 전국 11만km의 모든 도로에 활용될 수 있도록 각 도로관리청들 간 협력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총 12종의 스마트 도로관리시스템을 전국 모든 지자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 기술자문 등을 지원하고 있다.
#스마트도로관리시스템 #빅데이터 #도로관리 #척척해결서비스 #RMS #도로모니터링 #포트홀 #로드킬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