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 항공기에 장착할 고성능 ‘터보팬 엔진’이 오는 2025년까지 국내에서 개발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방위사업청은 미래 국방 무인기용 고성능 ‘터보팬 엔진’ 개발을 위해 부처 협의체 구성 등의 내용을 포함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무인기용 ‘터보팬 엔진’은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에 따라 수출입이 엄격히 통제되는 품목으로, 향후 국방 전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국내 독자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양 부처 간 설명이다.
이를 위해 엔진에 소요되는 소재·부품 개발에 강점을 지닌 산업부와 엔진 전반의 설계·제작·시험평가 등에 강점을 지닌 방사청의 핵심 역량을 연계하기 위한 협력 방안이 지속 논의돼 왔다.
협약에 따라 양 부처는 올해부터 터보팬 엔진 개발에 착수, 2025년까지 88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수행하게 된다. 터보팬 엔진은 터보제트 엔진의 터빈 뒷부분에 다시 터빈을 추가해 추진력을 더 증가하도록 설계된 엔진이다. 연료 절약과 배기 소음 감소, 장거리 비행 등의 장점이 있다.
고성능 터보팬 엔진 개발은 국방 측면뿐만 아니라, 국내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 확보라는 측면에서도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산업부는 예상했다.
특히 엔진에 소요되는 고부가 초내열 합금 소재·부품의 개발을 통한 국내 업계 기술 경쟁력 향상과 국방 분야에의 적용을 기반으로 향후 국내외 민간 시장 진출을 촉진할 마중물 역할이 가능할 것이란 분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의지가 이번 부처 간 협력 사업을 통해 보다 구체화했다”고 말했다.
방사청 관계자는 “무인기용 터보팬 엔진 개발을 통해 4차 산업혁명과 감시정찰분야 자주국방의 기틀을 다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터보팬엔진 #4차산업 #무인항공기 #미사일기술통제체제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