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챌린지 개편방안 주요내용/자료=국토교통부]
올해부터 기존도시를 스마트시티로 탈바꿈하기 위한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스마트챌린지 사업’을 새롭게 출범하고, 17일부터 공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스마트챌린지는 기존 도시에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적용해 교통 문제, 환경 문제, 주거 문제, 시설 비효율 등을 해결하는 사업이다. 2019년 도시 단위의 스마트시티 챌린지와 2018년 마을 단위의 테마형 특화단지 사업을 더해 개별 솔루션 단위의 소규모 사업을 통합·운영한다. 총 262억 원이 투입된다.
사업규모에 따라 △민간기업의 혁신적 아이디어로 교통 등 도시 전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시티 챌린지’ △지자체와 시민이 일정 구역의 수요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구축하는 ‘타운 챌린지’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스마트 횡단보도나 놀이터 등과 같이 시민체감도가 높은 단일 솔루션을 구축하는 ‘솔루션 챌린지’ 등 3개 유형으로 구성됐다. 각 유형별로 지원 규모, 사업 범위, 솔루션 규모 등 차별화했다.
‘시티 챌린지’는 총 4년간 진행되며, 첫 해 민간·지자체 컨소시엄 4개를 선정해 계획 수립 및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예비사업을 지원하고, 후속 평가를 거쳐 예비사업 성과가 우수한 1곳 내외는 3년간 150억 원을 지원한다.
‘타운 챌린지’는 2년간 진행되며, 1년차에 4곳을 선정해 예비사업을 지원하고, 추가 평가를 거쳐 계획 내용이 우수한 3곳 내외는 20억 원을 지원한다. 특히 생활편의, 문화관광 등 4개 사업 유형을 폐지하고, 지자체가 자유롭게 유형을 제안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부여한다.
‘솔루션 챌린지’는 시티·타운 챌린지와 달리 단년도 사업으로, 단기간에 솔루션 도입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선정된 10곳에 국비 3억 원을 투입하고, 선정 즉시 조성에 착수하도록 지원한다. 오는 4월말 총 18개 사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해 선정된 1기 시티 챌린지(6곳), 2기 타운 챌린지(4곳)의 예비사업지역에 대해서는 2월 중 경쟁을 거쳐 본 사업 지역을 최종 결정하고, 각 사업들의 성과도 본격화 해나갈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스마트챌린지는 지역 수요와 행·재정적 여건에 맞는 다양한 유형의 스마트시티 모델을 만들고, 기존도시의 스마트화를 가속시키는 핵심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마트챌린지 #시티챌린지 #타운챌린지 #솔루션챌린지 #스마트시티 #특화단지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