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지원기업과 비지원기업 간 비교(PSM 분석 결과)/자료=중소벤처기업부]
4차 산업혁명 분야 신산업 창출 2000억 원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자립 1186억 원 R&D 관련 빅데이터 DB 구축·분석 스마트 지원
올해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에 대한 지원 규모가 지난해보다 4141억 원 증액된 1조4885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편성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4차 산업혁명 분야 신산업 창출과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기술 자립을 지원하는 내용의 ‘2020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 공고’를 지난 5일 발표했다.
특히 출연·보조 방식에서 벗어난 투자방식의 R&D 지원과 개별 기업이 아닌 기술기반의 컨소시엄 형태 지원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R&D 수요 충족을 위해 18개, 2807억 원의 지원사업을 신설했다.
분야별로는 4차 산업혁명 신산업 창출을 돕는 데 연간 2000억 원 이상을 집중적으로 지원키로 했다.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형 자동차 3대 신산업 분야와 4차 산업혁명 3대 인프라 산업인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AI)이 해당된다.
소재·부품·장비 분야 육성 지원에는 특별회계로 1186억 원을 편성했다. 강소기업 100개사에 대해 R&D를 우대지원하고, 최종평가에서 탈락한 기업에 대해서도 3년간 R&D 가점 부여를 통해 기술 자립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의 다양한 R&D 지원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18개 사업을 신설해 2807억 원을 지원한다.
또 핵심기술이지만 범용성이 낮아 기술개발 수요가 적은 경우 R&D 성공 시 투자비용과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후불형 R&D를 신설하고, 규제해결형(170억 원), 소셜벤처형(45억 원), 재도전형(95억 원) 등 다양한 방식의 R&D 수요를 충족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향후 세부사업별 공고를 통해 지원대상, 지원내용, 지원조건 등을 발표할 계획이며, 이달부터 관계부처 합동설명회 및 지방청을 통한 지역순회 설명회를 19회 실시할 예정이다.
#중소기업 #기술개발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 #4차산업 #빅데이터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