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모든 차종의 친환경차 라인업/자료=국토교통부]
우리나라가 미래 자동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구체적 시간계획과 로드맵을 담은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이 나왔다. 전기·수소차, 자율주행차로 대표되는 미래차 분야에는 아직 세계에서 확실한 강자가 없는 상황에서 국내 완성차 업계가 향후 10년간 60조 원을 투자하고 정부는 법, 제도, 인프라를 뒷받침한다.
정부는 향후 10년간 우리 미래차 산업이 나아갈 방향으로 △2030년 국내 신차비중 33%, 세계시장 점유율 10%(친환경차 세계시장 선도) △2027년 완전자율주행(주요도로) 세계 최초 상용화(자율주행차 미래시장 선점) △자율주행 서비스 확산, 2025년 플라잉카 실용화(미래차 서비스시대 준비) △2030년 부품기업 중 전장부품 기업비중 20%(미래차 생태계 조기 전환) 등을 제시했다.
우선 2030년 전 차종에서 친환경차를 출시해 국내 신차 비중을 33%로, 세계시장 점유율을 1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친환경차 글로벌 경쟁력 확보
생산부문에선 2030년까지 모든 차종의 친환경차 라인업을 구축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차 성능 우위(전비, 주행거리 등)을 유지·확대키로 했다. 전기차는 고급세단, 소형 SUV, 소형트럭(5톤 미만) 등, 수소차는 SUV, 중대형 트럭(5톤 이상) 등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모든 차종의 친환경차 라인업을 확충한다.
전기차는 전비, 주행거리 등 성능 중심의 보조금 개편을 통해 고효율화 및 성능향상을 유도하고, 충전 속도는 현재보다 3배로 향상시킨다. 수소차는 내구성을 16만→50만km로 강화하고, 부품 국산화율 100% 달성 및 4000만 원대로 차량 가격인하를 추진한다.
수출부문에선 글로벌 완성차사가 국내 전기차 생산 시 부품업계와 연계한 생산부품 R&D를 지원해 글로벌 전기차 생산기지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기존 부품단위 기술개발에서 벗어나 핵심차종을 목표로 맞춤형 부품생산 지원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시장형성 초기단계인 글로벌 수소차 시장에서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부품의 국제표준 반영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수소충전소 안전기술, 수소생산 기술, 수소상용차 표준 등 2030년까지 10여건의 국내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제안하고, 수소기술총회(ISO) 및 국제표준포럼 등을 개최해 국제협력도 본격화 할 계획이다.
친환경차 국내 보급 가속화
친환경차 국내 보급을 가속화하기 위한 지원도 확대한다. 생산규모, 배터리(전기차)·수소연료전지(수소차) 가격·성능 등 시장상황, 경쟁력 등을 감안해 2022년 이후 구매 보조금의 지급여부, 수준을 적극 검토한다. 수소 가격은 수소유통비 절감으로 2030년까지 현재의 50% 수준으로 인하하며, 현재 친환경차 구매 시 지원되는 개별소비세 및 취득세 인하는 일몰 도래 시 세제지원 연장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버스, 택시, 트럭 등 다수의 차량을 보유한 사업자를 중심으로 전기·수소차의 대량 수요를 발굴·확산한다. 운수사업자 선정 시 수소버스 운행 우대 등을 통한 수요창출과 함께, 대형 물류업체·프랜차이즈 등에 전기화물차 등 구매를 권고하고, 구매실적 공표 및 의무구매비율 설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자율주행차량(버스·셔틀·택시 등)은 수소·전기차 기반으로 개발해 공공수요·대중교통 등으로 확산한다.
[2020, 2030, 2040년 수소충전소 구축(안)/자료=국토교통부]
수소충전소는 2030년 660기, 전기충전기는 2025년 1만5000기를 각각 구축한다. 2030년이면 수소충전소는 주요 도시에서 20분 이내에 도달하게 된다. 전기충전기는 공동주택 및 대형마트·주유소·고속도로 휴게소 등 주요 거점 등을 중심으로 매년 1500기 이상 구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