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00위 업체 중 사망사고 발생 현황(7월)/자료=국토교통부]
지난달 현대건설의 건설 현장에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위 건설사 중 7월 한 달 동안 사망사고가 발생한 회사의 명단을 공개한 결과 현대건설을 포함해 대림산업, 대우건설, 현대산업개발, 중흥건설, 신동아건설 등 6개사에서 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현대건설은 지난달 31일 서울시 양천구 목동 ‘빗물저류 배수시설 확장공사’ 현장에서 저류터널 점검 중 발생한 사고로 인해 근로자 3명이 숨졌다.
현대건설을 포함해 대림산업, 대우건설, 현대산업개발, 중흥건설, 신동아건설 등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위 건설사 중 6개 건설사가 시공 중인 공사현장에서 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국토부는 지난해 말 ‘건설기술진흥법’을 개정해 지난달부터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건설안전종합정보망을 통해 신고 받고 있다. 국무조정실, 고용노동부와 합동으로 사망사고가 발생한 건설사가 시공 중인 전체 현장을 대상으로 지난 23일부터 불시점검에 돌입했다.
첫 번째 불시점검 대상은 GS건설과 중흥토건·건설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GS건설은 지난 3월18일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건설공사(경북 안동)에서 구조물 붕괴로 3명이 사망한 사고를 포함해 상반기 중 5명의 사고사망자가 발생했다. 중흥토건·건설은 3명의 사고사망자가 발생했다. 한편 국토부는 통합물류센터 붕괴사고(경남 창원시, 6월 25일 발생, 9명 부상)와 금강펜테리움 IX타워 구조물 붕괴사고(경기 화성시, 6월 26일 발생, 4명 부상)를 대상으로 민·관 합동 사고조사를 실시하고, 시공사와 감리사 등 건설공사 참여자에게 형사고발 및 벌점, 과태료 부과 등 엄중처분을 내리도록 해당 인·허가기관에 요청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 2년 간 관련 법령을 대폭 개정해 각 사업단계별로 안전장치를 강화했다”며 “앞으로는 각종 안전·품질관리 규정들이 현장에서 실제 이행되는지 집중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