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정범선 기자] 인천 지역 모든 버스노선에 대한 개편이 시행된다.
인천시는 20일 ‘시내버스 노선체계개편 및 효율화방안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시가 지난 7월에 발주한 노선개편 용역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외 3개사가 내년 5월까지 10개월에 걸쳐 빅데이터에 근거한 노선개편안 마련 등 주요 과업을 수행한다.
시는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시민공청회와 설명회를 거쳐 시민의견을 수렴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보완한 후 2020년 7월31일 노선개편을 전면 시행할 계획이다.
이번 용역에서는 굴곡노선과 장거리 노선을 줄이고, 현재 ‘간선’ 위주의 노선운영에서 철도, 병원, 상권, 학교 등 시민들의 동선과 가까운 ‘지선’ 위주로 노선체계를 완전히 바꿀 계획이다.
또 버스노선 효율화 정책 수립에 항상 걸림돌이 되어 왔던 한정면허 17개 노선을 폐지해 재정부담도 줄이고, 효율적인 버스행정 기반도 마련할 방침이다.
이밖에 주52시간 근로제 시행에 따라 운전자의 근로시간을 단축 적용하고, 지하철 개통이후 버스승객이 대폭 줄어든 과다 운행대수 노선의 차량을 재조정해 원가를 절감할 계획이다.
현재 4곳 밖에 없어 연료 낭비와 배차시간 증가 등의 원인이었던 ‘버스 공영차고지’도 2021년까지 6곳으로 늘리고 2026년까지 14곳으로 확대한다. 노선별 기점과 종점지역의 버스회차지도 대폭 확대해 운전자의 편의시설도 갖춘다.
시 관계자는 “이번 빅데이터 활용 노선개편이 시내버스 서비스에 대한 시민만족도가 개선되고, 대중교통을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