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부처, 공공기관 등 국가가 보유한 공간정보목록이 민간에 공개된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정부부처, 공공기관 등 189개 기관에서 보유한 국가공간정보목록을 조사하고, 11일부터 국가공간정보포털에 조사결과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개하는 공간정보 목록은 지난해(4만752건) 대비 33.1%(1만3504건) 증가한 5만4256건이다. 유형은 △국토관리·지역개발 분야 50.7% △도로·교통·물류가 17.5% △지도관련 8.9% △일반행정이 8.1% 순이다. 토지, 건물, 용도지역 등 부동산관련 정보와, 도로, 철도 등 공공 기반시설 관리 등의 주제도정보가 다수 포함됐다.
활용성 측면으로 보면 보안자료 및 내부 업무용으로 공개를 제한하거나 비공개로 분류된 정보는 각각 47.5%(2만5778건), 17.7%(9580건)으로 전체의 65.2%에 달했다. 공개 가능한 정보는 34.8%(1만8898건)로 조사됐다.
공간정보목록은 국가공간정보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기관 간 공동활용 및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이를 민간에 공개함으로써 국가가 생산·관리하는 공간정보를 손쉽게 찾고 관련 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도 데이터 경제 활성화 규제혁신 현장방문 행사에서 “데이터 경제시대를 맞아 데이터 고속도로를 구축 하겠다”고 관련 산업에 대한 예산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특히 이번 공개는 에어비앤비, 우버 같은 글로벌 기업의 성공 요인 중 데이터와 데이터를 연결하는 기반인 ‘공간정보’가 중추적 역할을 했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부는 공공의 데이터를 잘 가공하고 활용하면 생산성이 높아지고 결국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연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토부 국가공간정보센터 관계자는 “공간정보가 무엇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고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을 때 내비게이션 같은 정보의 가이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정보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속적인 공간정보 양방향 연계 정책을 추진하여, 공간정보 허브로써의 역량을 공고히 하고, 축적된 공간정보의 공동활용 및 민간에 공개함으로써 민간 산업에 대한 활용지원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