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 친체로 신공항 PMO사업 개요/자료=국토교통부]
우리 정부가 페루 친체로 신공항 PMO(사업총괄관리) 시장에 진출, 정부간 인프라 분야 수주에 성공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5일 페루 정부가 정부간 계약(G2G)으로 발주한 친체로 신공항 PMO 사업(사업총괄관리)을 우리나라가 수주(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친체로 신공항 PMO 사업은 발주처(페루 정부)를 대신해 △건설 참여 업체를 선정하는 계약관리 △사업의 공정 및 품질 관리 △설계 검토 △시운전 등 사업전반에 대해 총괄 관리하는 것으로 사업기간은 올해부터 2024년까지 5년이며 사업금액은 약 3000만 달러(350억 원)다.
페루 정부는 세계문화유산 마추픽추를 여행하기 위해 이용하는 벨라스코 아스테테 국제공항을 대체할 신공항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사업추진 과정에서 안전성을 담보하고, 부족한 공항 건설경험 및 기술능력을 보완하기 위해 정부간 계약(G2G), PMO 방식으로 사업을 계획했다.
벨라스코 아스테테 공한은 주변이 산악지역으로 항공운항 안전에 위협이 되고, 상업용 건물과 주거지로 둘러 쌓여있어 소음문제에 따른 주민 항의로 야간 비행이 제한됐다.
공항건설 및 운영 경험을 보유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페루의 사업요청과 함께 지난해 10월 한국, 스페인, 캐나다, 영국, 프랑스, 터키 등 6개국이 사업참여 의향서를 제출했다.
우리 정부는 사업제안서를 작성할 한국 콘소시엄(한국공항공사, 도화, 건원, 한미글로벌)을 구성·운영하고, 사업수주 지원을 위해 국토부, 한국공항공사, 해외건설협회, 코트라와 지원활동을 전개했다. 협력대표단(공항항행정책관, 해외건설정책과장, 한국공항공사장)을 3차례 파견하는 등 양국 간 네트워크 구축 및 정보 파악에 주력했다.
이후 지난달 한국, 스페인, 캐나다, 터키 등 4개국이 사업제안서를 최종 제출했으며, 페루 정부의 평가(기술과 가격)결과 한국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최종 선정됐다.
정부는 이번 수주는 인프라 분야 최초의 정부 간 계약사업으로 민관 합동진출이면서 향후 우리기업이 중남미 진출에 교두보 역할과 공항건설 PMO 시장에 진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친체로 신공항 PMO 사업은 페루 정부와 사업기간, 금액 등 계약조건 협상을 거쳐 7월말 정부간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민관이 힘을 합쳐 사업을 수주하고 공동 진출을 이뤄낸 성공적 사례”라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