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행복한 스마트 안전 도시③

스마트 안전 도시 해외 사례
뉴스일자:2019-06-13 12:10:58
싱가포르 : 국가위험관리시스템과 디지털 트윈시티

싱가포르에서는 국가위험관리시스템(RAHS, Risk Assessment and Horizon Scanning)을 통하여 자료 수집·분석, 정보 제공, 모델링 및 모니터링을 수행해 미래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현재 RAHS 3.0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축하여 데이터를 수집 및 분류하고 시각화, 모델링 등의 연구를 지원하여 싱가포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문제를 예측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국가위험관리시스템(RAHS)은 RAHS 싱크센터, RAHS 솔루션센터, RAHS 실험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RAHS 싱크센터에서는 환경변화를 감지하고, 현 이슈에 대한 연구·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다. RAHS 솔루션센터에서는 정책프로젝트에 대한 정부기관들과의 협업 및 역량을 개발하고, 관련 프로세스 및 도구 발전을 위한 개념을 정립하고 있다. RAHS 실험 센터에서는 정책결정 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술을 실험하고, 체계적 업그레이드를 통한 RAHS 시스템 향상 및 유지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환경탐색(Horizon Scanning)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잠재적 위험요소와 불확실성 요소를 탐색하고, 2년에서 4년 이내에 발생 가능한 위험을 예측하고 있다. 미래예측 분야는 대테러, 의료분야, 사이버 보안, 환경탐색과 시나리오, 에너지 안전 및 교육, 해상안전, 화생방 등 총 7개 분야이다.

또한 싱가포르 정부에서는 빅데이터와 증강현실의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트윈 시티인 버추얼 싱가포르(Virtual Singapore)를 구현하여 싱가포르의 모습을 3차원으로 모델링한 데이터 플랫폼에 지형, 지반, 건물, 인프라 시설물, 인문·사회·자연 환경 등의 정보를 인코딩하였다. 버추얼 싱가포르는 가상실험을 통해 재난 피해를 예측하거나 서비스 소외 지역을 도출할 수 있으며, 군중·분산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응급상황 대피 절차를 수립하는 등 도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측하고 해결 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통 흐름과 보행자 이동 패턴 분석 앱 등 데이터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도시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 : 스마트 아메리카

[미국 스마트 비상 대응시스템/자료=스마트 아메리카 홈페이지]

미국에서는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연결하는 사이버 물리시스템(Cyber-Physical Systems:CPS)과 관련한 프로젝트 및 다양한 기술을 융합하는 스마트 아메리카(Smart America)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사이버 물리시스템은 사물 인터넷과 시스템 제어 기술을 결합한 것으로, 사물을 감지하고 제어하거나 주변의 물리적 환경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스마트 아메리카의 과제는 주거/건물, 기후/환경, 재난회복, 제조, 교통, 보건, 보안, 에너지의 8개 분야로 나뉜다. 재난회복 분야에서는 스마트도시 행사관리, 스마트 비상 대응 시스템(Smart Emergency Response System:SERS), 스마트 폰 재난 모드의 3개 소분야로 구분된다.

스마트도시 행사관리는 콘서트, 운동경기, 퍼레이드 등 도시 내 행사 개최 시 민간 및 공공부문 조직이 협력하여 계획부터 실행, 분석에 이르기까지 사물인터넷(loT) 기술과 스마트도시 소프트웨어의 서비스를 활용한다. 민간기업인 IBM과 AT&T가 협력하여 외부/오픈 데이터 소스 및 교차 이벤트 정보를 사용하여 행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측하고 대응하여 안전한 행사를 보장한다.

스마트 비상 대응시스템(SERS)은 기존 대응시스템에서 지상 및 항공 로봇, 센서, 수색 및 구조를 위한 전자 통신 및 컴퓨터 등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을 결합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임무 수행 컨트롤타워와 현장의 연계, 드론 및 로봇 등 자원 배치의 최적화, 원격 업무를 통한 수색 및 구조 작업 등으로 대응의 효율성을 향상한다. 또한 스마트 비상 대응시스템을 통해 퇴역 군인과 실업자에게 고용 기회를 창출하고 시스템 설계자, 개발자, 기업가, 통신 등 산업생태계를 조성하며, 자동화 시스템으로 경제 성장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 폰 재난모드는 재난 발생 시 스마트폰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재해 대비 및 대응 앱으로, 통합 센서를 사용하여 재난 피해자가 구조기관에 자신의 상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재난모드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평상시 스마트 폰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재난 발생 시 재난모드를 켜면 저전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배터리 수명을 지연시키고, 연결되지 않은 기기 간 정보를 전파하여 피해자 간 재난현황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스마트 폰 재난모드에 대해 재난 발생 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완전 제거와 재난 종류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스마트 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위치 추적 분석을 통해 큰 폭풍이나 막힌 도로와 같은 이상 징후를 탐지하고, 사람들의 이동량을 관찰하여 재난을 피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거리, 방법, 교통의 접근 등의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