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아파트 난방사용량, 노후 아파트보다 43% 감소

국토부, 2018년 통계 발표…“단열기준 강화로 에너지효율 높여”
뉴스일자:2019-05-29 19:01:06
[2018년 주거용 건물 에너지사용량 현황/자료=국토부]

[도시미래=최재영 기자] 국토교통부는 전국 모든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사용량 정보를 통합한 빅데이터 정보를 바탕으로 ‘주거용 건물 에너지사용량 통계’를 29일 발표했다. 

주거용 건물 에너지사용량 통계는 지역별(광역시도 및 시군구), 주거 용도별(단독·다중·다가구·아파트·연립·다세대), 건물에너지(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별로 집계하며 올해부터 매년 5월말에 발표한다.

에너지 사용량 통계 및 분석 자료는 지자체별 도시재생사업, 주택정비사업의 효과분석,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 및 효과적 감축수단 발굴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2018년 주거용 건물 전체 에너지사용량(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은 1935만9000TOE이다.

시도별로는 경기(27%), 서울(22%)이 전국 사용량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건물 연면적(43%)에 비해 에너지 사용 비중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 경기, 인천 등 도시화율이 높은 수도권이 전체 연면적 대비 에너지 사용량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석탄, 석유 등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외 에너지 사용 비중이 높은 지방의 경우 사용량 비중이 다소 낮게 나올 수 있으나 향후 매년 발표할 통계 변화 추이 분석과 전망을 통해 효과적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용도별로는 아파트(59%)가 가장 높고, 단독주택(15%), 다가구주택(14%), 다세대주택(10%), 연립주택(2%), 다중주택(0.4%)순으로 집계됐다. 아파트의 경우 전체 연면적(64%) 대비 에너지 사용량 비중이 낮게 나타났으며, 타 세대와 인접하는 아파트 구조의 특성과 지역난방 비중이 높은 등의 원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원별로는 도시가스 사용량(54%)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기는 37%, 지역난방은 9%로 나타났다. 

또, 중부지방 기준 난방사용량은 30년 전 사용승인(1985~1987)된 아파트 및 단독주택과 최근(2015~2017년) 사용승인 된 동일 유형 주택과 단위면적당 난방사용량 비교결과, 최근 지어진 아파트는 (4.97~2.82 10-3TOE/m2), 단독주택은 31%(6.98~4.78 10-3TOE/m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지속 추진해 온 단열기준 강화와 기밀시공 향상에 따라 난방사용량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냉방사용량은 냉·난방사용량의 약 9%에 불과하고 시계열로 뚜렷한 증가 양상을 보이지는 않지만, 향후 기후변화 및 생활수준 향상 등에 따라 사용량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전기사용량은 주거용 건물의 단위면적당 전기사용량 분석결과, 1980년 사용승인연도 이전 주거용 건물에 비해 그 이후 지어진 주거용 건물의 전기사용량이 줄어들고, 완만하게 안정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주거용 건물의 월별 전기사용량은 8월에 가장 많았으며, 동절기에 전기난방기기 등의 증가로 중간기에 비해 약 14%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물 단열기준과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 등 녹색건축물 정책·제도 강화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변경 추이도 조사됐다. 

단열기준이 강화될수록 단위면적당 난방사용량은 모든 주택유형에서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1979년 9월 단열기준 최초시행 이래 2001년, 2008년, 2013년, 2016년, 2018년 기준을 상향해 왔으며, 그 결과 에너지 사용량의 유의미한 감축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향후에도 시장 수용성과 에너지절감효과 등을 감안해 단계적으로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번 주거용 건물 에너지사용량 통계 공표에 이어 비주거용 등 모든 건물 사용량 통계를 생산·제공할 방침이다.

journalist.gil@hanmail.net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