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내 폐광산, 생태복원 추진

국립공원공단-한국광해관리공단 업무협약
뉴스일자:2019-05-23 11:24:01
[태백산국립공원 함백산 일원 폐석지/자료=환경부]

국립공원 내 폐광산으로 인한 지표 침하, 폐수, 폐석·광물 슬러지 퇴적, 유독가스 배출 등의 피해를 막기 위한 사업이 추진된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광해관리공단과 폐석탄광 등 일부 국립공원에 남아 있는 광해시설의 자연친화적인 복원과 상호발전을 위해 23일 강원도 원주시 한국광해관리공단 본사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정부혁신 실행 과제인 ‘기관 간 장벽을 넘는 협력’을 위해 추진된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국립공원 내 광해발생 공동조사 및 사업추진 협력 △광해방지 사업추진을 위한 인허가 협력 △광해방지시설물 점검 및 관리 협력 △광해방지 관련 학술 및 기술교류 협력 등이다.

양 기관은 6월 중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국립공원 내 광해시설을 합동으로 정밀 조사하고 광해 유형별 복원방안 수립과 단계별 추진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광해시설 유형에는 폐석탄지 및 관련 시설물, 침출수, 갱도, 진출입로 등이 있다. 

올해 시범사업으로 태백산국립공원 함백산 일대 자연경관 복원을 위한 폐전신주 18개에 대한 철거사업을 진행한다. 현재 국립공원 일대의 폐석탄광은 태백산(함백산) 내외에 11곳, 월악산 내에 2곳이 있다.

권경업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증진을 위한 폐탄광 복원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이 뉴스클리핑은 ufnews.co.kr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