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도로지도 민관 공동구축을 통한 변화상/자료=국토부]
[도시미래=정범선 기자] 국토교통부는 민관협력으로 자율주행차용 정밀도로지도의 효율적 구축‧갱신을 위한 협력체계 구성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25일 국토부에 따르면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고, 도로‧교통 규제를 인지하도록 사전에 구축한 3차원 공간정보로, 자율주행차 센서정보와 정밀도로지도를 결합하면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대규모 예산과 인력이 투입되는 정밀도로지도는 정부가 단독으로 구축할 경우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기술개발 수준과 민간 요구사항에 빠른 대응이 어렵다. 반대로 민간이 경쟁적으로 구축‧갱신하면 중복투자로 인한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번 업무협약에는 완성차업계, 이동통신업계, 지도제작업계, IT․전자업계의 14개 민간기업과 국토부를 포함 3개 유관기관 등 총 17개 기관‧기업이 참여한다.
자율주행차용 정밀도로지도 공동구축 시범사업은 참여기관의 의견을 수렴하고 시범구간을 확정해 올해 하반기부터 추진되며, 기업들은 각자 원하는 역할로 시범사업에 참여해 구체적 공동구축체계 추진방안을 공동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2015년부터 올해까지 약 13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국 고속도로를 포함한 약 5500km 정밀도로지도를 구축했다. 이번 민관 공동구축체계 출범을 통해 전국 모든 도로의 약 11만km 정밀도로지도가 더욱 효율적으로 구축될 전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이 정밀도로지도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나아가 자율주행차 산업을 활성화하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국토부는 정밀도로지도를 비롯한 스마트 인프라을 구축하고 안전기준을 마련해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journalist.gil@hanmail.net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