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백산허리길(위)과 대구 도동~주모 구조개선(아래) 사례/자료=행안부]
[도시미래=김명옥 기자] 정부가 전국의 사고 유발 도로의 구조개선 사업에 올해만 331억 원을 투입한다.
행정안전부는 지방도로 위험구간의 구조개선을 위해 2019년도에 33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12일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방도로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은 지방도로 상 급경사, 급커브 등 도로시설기준에 맞지 않는 위험구간 정비를 통해, 교통사고·주민불편 해소를 목적으로 한다.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692개소에 8,742억원을 투자한데 이어, ‘위험도로 구조개선 제2차 중장기계획’에 의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 동안 16개 시‧도, 715개소에 총 1조 3672억 원(국비 50%, 지방비50%) 규모의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국내 도로의 83%를 지자체가 관리하고, 교통사고 86.7%, 사망자 73.2%가 지방도로에서 발생하지만, 지자체의 열악한 재정여건 등으로 개선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행안부는 지난 2004년부터 위험도로 구조개선을 실행한 결과 교통사고 건수가 최근 5년간 평균 65% 감소하는 등 높은 사업효과를 거두고 있다.
이런 사업성과를 바탕으로 행안부는 올해 2018년 대비 30% 증가한 금액을 투자키로 했다.
부산 백산허리길 구조개선, 대구 도동~자모 구조개선, 전남 장성군 작은재 구조개선 등 16개 시‧도 62개 사업의 위험도로 구조개선을 지원하며, 충북 보은군 삼가~만수간 도로 구조개선 등 28개소는 연내 준공예정이다.
윤종인 행정안전부 차관은 “안전한 교통환경을 위해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journalist.gil@hanmail.net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