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미세먼지가 증가할수록 정신질환이 증가한다는 국내외 연구가 나온 가운데, 도시숲이 미세먼지는 물론 우울증상 완화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도시숲이 가장 많은 지역에 사는 사람의 우울증상 위험도가 도시숲이 가장 적은 지역에 사는 사람보다 평균 18.7% 낮다는 연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국립산림과학원 도시숲연구센터와 고려대 이종태 교수진이 2009년 국민건강조사자료를 바탕으로 7개 특·광역시 거주 성인 6만5128명을 대상으로 도시숲과 우울증상의 연관성을 평가한 결과 도시숲의 우울증상 완화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는 위성영상자료를 통해 정규식생분포지수(NDVI)를 산출해 7개 도시의 각 자치구의 도시숲의 녹색 정도를 평가해 도시숲이 가장 적은 지역부터 도시숲이 가장 많은 지역까지 4분위로 나눴다.
또 개인의 성별, 교육수준, 직업, 소득수준, 혼인 유무, 건강행태 및 지역의 경제수준 등 우울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의 효과를 보정했고 우울척도(CES-D) 문항으로 평가, 총점이 16점 이상이면 우울증상이 있는 것으로 간주해 도시숲과 우울증상과의 관련성을 면밀하게 조사했다.
그 결과 도시숲이 가장 적은 지역의 우울증상 상대위험도를 1로 가정했을 때, 가장 많은 지역에 사는 사람의 평균적 우울증상 위험도는 0.813으로 평균 18.7% 낮게 나타났다.
연구는 최근 미세먼지와 폭염 피해를 저감하는 도시숲의 정신건강 증진효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시민은 도시숲에 머무는 자체만으로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권진오 도시숲연구센터장은 “이번 연구는 도시숲의 미세먼지와 폭염 완화 등 환경개선기능 뿐 아니라 국민 정신건강에 유익함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계기”라고 말했다.
이종태 고려대 교수는 “도시숲은 미세먼지 저감 뿐만 아니라, 도시 거주민의 건강을 증진시켜 대기오염에 대한 신체적 저항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며 “도시숲 조성은 미세먼지 저감 및 적응 전략 중 하나로 중요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